피부과

점점 강해지는 봄볕, 자외선 차단 잘하려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볕을 오래 쬐면 자외선 때문에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성병변이 악화될 수 있어 자외선차단제를 활용해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기온이 오르고 봄볕이 세지면 자신도 모르는 새 기미, 잡티, 주근깨가 악화될 수 있다. 상계백병원 피부과 이운하 교수는 "겨울 동안 실내활동을 주로 하면서 피부의 자외선에 대한 적응력이 약해진다"며 "봄에는 대기가 건조하고 황사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까지 심해져 피부가 손상되기 쉽다"고 말했다. 실제 볕을 지속해서 쬐다 보면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성병변이 악화되기 쉽다. 특히 자외선이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굵고 깊은 주름을 만든다. 진피혈관이 변화되면서 모세혈관이 확장돼 쉽게 멍이 들 수도 있다. 따라서 자외선차단제를 반드시 쓰고 적절한 제품을 고르는 게 중요하다.

일상생활 중 자외선차단을 원하면 SPF 지수 15~30, PA 지수 +~++의 자외선차단제가 적당하다. 레포츠를 하거나 여행을 하는 등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한다면 SPF 50, PA+++ 수준의 자외선차단제를 써야 한다. 워터파크나 바닷가 등 물놀이를 하는 경우 방수 기능이 있는 여름철 전용 제품을 바른다. 야외활동 30분 전부터 발라야 하고, 2~3시간마다 반복해 바른다. 이운하 교수는 "단, 자외선차단제의 화학적 성분에 민감한 경우가 있다"며 "이때는 자외선차단제 성분에 의해 자극성 피부염이나 모낭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즉시 피부과를 방문해 치료 및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양산, 모자, 선글라스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의류의 경우 천의 종류, 질감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가장 우수하고 면이나 레이온은 효과가 떨어진다. 옷감의 색깔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 물에 젖을 경우에는 옅은 색깔 의류가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진다 . 모자를 쓸 때는 길이 7.5cm 이상의 챙이 달린 모자가 좋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