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니트 입고 나서 목·팔뚝 간지럽다면…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스웨터를 입은 후 피부가 간지럽다면 접촉성피부염의 위험 신호일 수 있다. 사진-헬스조선DB

보드랍고 도톰한 니트는 보온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잘 구겨지지 않아 남녀노소 모두가 즐겨입는 옷이다. 그런데 니트를 입고 나서 목이나 팔뚝 등 피부가 간지럽다면 접촉성피부염의 신호일 수 있다.

니트를 입고 난 후 피부가 간지러운 이유는 니트의 굵은 털실 표면이 피부를 지속적으로 미세하게 자극하기 때문이다. 자극이 지속되면 여드름이나 아토피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심하면 자극성 접촉피부염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자극성 접촉피부염으로 발전하면 피부 접촉면이 붉어지고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이로 인해 피부를 긁게 되면 피부가 짓무르거나 출혈을 동반할 수 있어 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특히 털실 소재로 만들어진 목도리나 터틀넥 스웨터는 목과 턱 부분의 피부를 더 자극해 트러블이 더 생기기 쉬워진다. 이밖에도 비니 등의 니트 모자류 또한 두피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이상반응이 있을 시엔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 가장 빠른 대처 방법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니트 소재 옷을 입은 후 간지러움이 생겼다면, 면 티셔츠를 받쳐입고 목 부분은 부드러운 면이나 실크 스카프를 안쪽에 둘러주는 것도 좋다. 또 새 옷은 세탁 후 입는 것도 자극을 줄이는 방법이다.

그리고 니트는 마찰력이 크고, 화학섬유인 나일론이 포함된 혼합 섬유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섬유에 비해 정전기가 심한 편이다. 겨울철에는 몸이 건조해 몸 자체가 방전되는 경우가 많은데, 니트의 섬유특성상 정전기 발생을 가중시켜 몸에 타닥타닥하는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피부질환이 있는 경우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니트를 입을 때는 섬유유연제를 사용한다던지, 가습기 등의 사용으로 실내 습도를 조절을 하는 것이 정전기를 예방할 수 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