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일어날 때 어지러운 저혈압,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효과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기립성 저혈압에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서울대병원 제공

그동안 과학적 근거가 미약했지만 흔하게 사용해온 기립성 저혈압 치료제가 국내 연구진의 임상연구를 통해 그 효과와 안전성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 교수와 이상건 교수팀은 현재 기립성 저혈압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미도드린’과 ‘피리도스티그민’이 임상시험 결과 심각한 부작용 없이 증상을 상당히 호전시킨다고 22일 밝혔다. 미도드린과 피리도스티그민은 기립성저혈압에 사용하는 약물이다. 미도드린은 동맥과 정맥에 있는 알파1 수용체에 작용해 혈압을 올리고 피리도스티그민은 말초신경에 있는 아세틸콜린 양을 늘려 신경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이전까지 이 두 약물에 대한 장기적인 임상시험은 없었다. 미도드린과 피리도스티그민 병용 사용의 효과도 이론적으로만 알려졌으나 사람을 대상으로 한 효과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총 87명의 신경인성 기립성저혈압 환자를 각각 29명씩 3개 그룹(미도드린, 피리도스티그민, 병용요법)으로 나눠 3개월간 혈압변화와 우울증, 삶의 질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약물을 복용하면 일어날 때 혈압저하가 뚜렷이 감소해 환자 절반 이상이 기립성 저혈압이 없어졌다. 다만, 병용요법은 한 가지 약을 쓸 때보다 큰 장점은 없었다. 우울증, 삶의 질 또한 호전됐는데 미도드린이 피리도스티그민보다 효과가 뛰어났다. 기립성 저혈압 환자는 우울증이 만연하고, 삶의질도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구진은 기립성 저혈압에서 적어도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도움이 되며 단기적으로 미도드린과 피리도스티그만 병용치료 후, 장기적으로는 미도드린 단독치료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