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지연성 어지럼증 환자의 MRI 검사를 통해 소뇌의 위축이 확인됐다. 내원 초기의 MRI 사진(A)과 비교해, 2개월 후 추적검사의 MRI 사진(B)에서 소뇌가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사진=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열사병이 '지연성 소뇌 손상'을 일으켜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확인됐다.

열사병은 과도하게 높은 온도의 환경에 노출됐지만, 신체에서 발생한 열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가벼운 탈진, 두통, 어지럼증에서부터 다발성 장기손상과 중추신경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또 열사병으로 인해 신체의 심부온도가 40도를 넘으면 몸의 온도조절기능이 망가져 장기가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열사병의 급성기 증상(고열·의식장애·​덥고 건조한 피부)과 발병 기전은 잘 알려졌지만, 급성기 증상이 회복된 후 발생하는 장기적 합병증이나 질환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지수 교수팀은 열사병 환자 진료를 통해 열사병이 발현된 후에 나타나는 장기적 증상과 질환을 확인, 그 원인에 대해 확인하고자 환자 케이스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증상이 가벼운 열사병도 초기 증상이 회복된 후 일주일 정도 지난 시점에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아울러 연구팀은 전정기능검사를 통해 어지럼증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지연성 소뇌손상’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김지수 교수는 “열사병 환자가 발생한 경우, 우선은 체온을 빠른 시간 내에 떨어뜨려야 심각한 뇌 손상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며 “이에 더해 열사병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어지럼증 증상을 간과하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정밀한 검사 및 평가를 통해 소뇌의 평형기능에 이상은 없는지, 지연성 뇌손상이 발생하지는 않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열사병 환자에게서 장기적 소뇌손상이 확인된 만큼, 향후 지연성 소뇌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열사병으로 인해 뇌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의식 수준 저하나 이상 행동 및 판단력 저하를 보이거나 심하면 혼수상태로 빠질 수 있다. 특히 소뇌의 기능 이상이 제일 먼저 나타날 수 있는데, 몸의 중심을 잡지 못하거나 손발을 정밀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떨리듯이 움직이는 현상을 보일 수 있다.

때문에 열사병과 같은 온열질환 환자의 경우 초기 증상이 회복되더라도 면밀한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어지럼증이 다시 발생할 경우에는 전문의 진료를 통해 소뇌의 손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한편, 이번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 김지수 교수(책임저자), 고대안산병원 정일억 교수(1저자), 부산대학교병원 최서영 교수(공동저자) 등 어지럼증 전문의들의 협동연구로 이뤄졌으며, 신경학 분야의 저명학술지인 ‘신경학저널(Journal of Neur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