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시큰한 손목… 안 낫는다면, '이병' 의심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7/07/31 14:38
운동이나 청소 후 어깨·손목이 결리고 시큰거리는 경우가 있다. 대개 일시적인 증상으로 여기고 내버려 두지만, 손목 힘줄 주변에 염증이 생긴 '건초염' 증상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건초염은 반복적이고 과도한 신체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질환이다. 습도가 높아 관절 내 압력이 높아지는 여름철에 흔히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초란 신체 곳곳의 힘줄을 감싸고 있는 윤활막의 주머니를 말한다. 이곳에 염증이 생긴 것이 건초염이다. 날씨나 계절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보통 특정 동작이나 운동을 반복해 윤활막이 자극을 받아 생긴다. 윤활막은 전신에 퍼져있지만, 건초염은 주로 손목·손가락에 생긴다. 반복적인 동작을 자주 하는 부위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는 직장인, 집안일을 많이 하는 가정주부 손목을 사용하는 악기연주자가 걸리기 쉽다.
손목에 건초염이 생기면, 관절이 뻐근하고, 전기가 통하듯이 찌릿한 통증이 느껴진다. 빨갛게 부어오를 수 있고, 심하면 해당 부위에 열이 나기도 한다. 엄지손가락을 주먹 안쪽에 넣고 손목을 아래로 내리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자가진단해볼 수 있다. 이때 통증이 심하다면 건초염을 의심해야 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병원 치료 없이 건초염을 치료할 수 있다. 하루에서 이틀 정도 통증 부위를 움직이지 않고, 휴식을 취한다. 붓고 열감이 있다면 냉찜질을 하고, 통증만 있다면 온찜질을 하는 게 좋다. 냉찜질로는 열감을 식히고 온찜질로는 혈액순환을 도와 빨리 회복할 수 있다.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는 게 안전하다. 스테로이드 주사를 투여해 치료한다. 건초염 환자의 60%는 주사치료를 통해 건초염을 영구적으로 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초염을 오래 방치하면 만성으로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때는 염증이 침투한 윤활막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다. 평소 힘줄에 자극이 가는 활동을 자주 한다면, 손목 등에 보호대를 착용해 건초염을 예방할 수 있다. 활동 전후에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