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유전 탓 '남성형 탈모' 전체 90%… 치료 어떻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탈모 원인 따라 치료법 달라

이미지

남성형 탈모는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B

탈모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조사에 따르면, 국내 탈모환자 수는 약 1000만 명에 달한다. 탈모는 남성형 탈모·휴지기 탈모·원형 탈모 등 종류가 다양하지만, 그중 전체 탈모의 80~90%를 차지하는 것은 '남성형 탈모'이다. 남성호르몬으로 인해 주로 남성에게 잘 나타나 '남성형'이라 이름 붙여졌다. 이를 막을수는 없는 걸까?

◇유전적 영향 커… 남성호르몬 대사 산물이 원인
남성형 탈모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생기는 탈모이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체내 대사과정에서 DHT(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변하는데, DHT는 모낭을 수축시키고 피지 분비량을 늘린다. 이로 인해 모낭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면서 머리가 점점 가늘어지다 빠진다. 유전적으로 DHT 분비가 많거나 이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이 남성형 탈모를 잘 겪는다. 주로 M자 모양으로 머리가 빠지다가 정수리 부분으로 탈모가 확대되는 게 특징이다. 여성에게서 나타날 때는 이마보다 정수리 부근의 머리카락이 빠진다는 특징이 있다. 탈모 환자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자신감을 잃는 등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기도 한다. 머리카락이 빠져 욕실 수챗구멍이 자주 막히거나 ▲집 안에서 머리카락 뭉치가 자주 발견되거나 ▲과거에 비해 이마가 넓어졌다면 탈모를 의심해볼 수 있다.

◇치료 빠를수록 효과 좋아…약물치료 우선
탈모를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생각해 병원을 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남성형 탈모는 약물을 통해 치료되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약물 요법을 중심으로 치료한다. 피나스테리드·두타스테리드 성분의 약이 대표적인데, 이는 치료는 테스토스테론이 DHT로 바뀌는 것을 막아 머리가 빠지는 것을 늦춘다. 그러나 여성이 탈모약을 먹을 경우 기형아 출산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대신 미녹시딜 성분의 바르는 약을 쓴다. 두피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은 노폐물이 쌓여 모공을 막을 수 있어 특히 유의해야 한다. 자신의 두피 유형에 맞는 샴푸를 써 머리를 깨끗이 감고, 머리카락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게 좋다. 약물로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뒷머리를 앞으로 이식하는 모발이식수술을 받기도 한다.

한편 휴지기 탈모·원형 탈모·노화성 탈모는 원인과 치료법이 달라, 병원을 방문해 자신의 탈모 유형을 진단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게 중요하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