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발 냄새 유독 많이 나는 사람, 왜 그럴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발의 습기와 각질을 제거해 세균 번식을 막으면 발 냄새를 줄일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B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땀이 많이 난다. 발도 예외는 아닌데, 유독 발에 땀이 많이 나면서 발 냄새가 심해지는 사람들이 있다. 발 냄새가 심한 사람은 신발을 벗는 자리에 가기를 꺼리는 등 일생생활에 불편을 겪는 경우도 많다. 여름철 골칫거리인 발 냄새 관리법을 알아본다.

발에 땀이 나면 피부층의 각질이 불어난다. 이때 발에 있는 세균이 각질층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이소 발레릭산'이라는 화학물질이 발 냄새의 원인이다. 이소 발레릭산은 코를 찌르는 악취를 유발한다. 따라서 빗물·땀으로 인해 습해진 발이나 잘 씻지 않아 각질이 많은 발일수록 냄새가 잘 난다. 다한증 환자나 무좀 환자도 발 냄새가 더 심할 수 있다. 다한증은 땀 분비를 조절하는 신경계가 잘못되어 땀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질환이다. 발에 땀이 많이 나면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습한 환경이 된다. 무좀은 발에 곰팡이균이 번식해 생기는 질환인데, 곰팡이균이 발 각질을 영양분으로 삼아 분해하면서 냄새가 심해진다.

발의 습기와 각질을 제거하면 발 냄새를 줄일 수 있다. 맨발로 신는 샌들은 땀을 잘 흡수하지 못해 발이 습해지므로 신지 않는 게 좋다. 신발 여러 켤레를 며칠 간격으로 번갈아 신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한 신발을 오래 신는 것은 삼간다. 신발의 습기가 잘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또 착용하고 발에서 땀이 나면 냄새가 심해질 수 있다.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양말을 꼭 신고, 땀이 많은 사람은 하루에 2~3켤레를 갈아 신는 게 좋다.

발을 씻을 때는 발가락 사이를 깨끗이 씻고 완전히 건조시켜야 한다. 사무실 등 실내에서는 발에 통풍이 되도록 슬리퍼로 갈아신는 것도 도움이 된다. 술, 커피, 맵고 자극적인 음식을 땀 분비를 유도하므로 줄이는 게 좋다. 다한증 환자는 약물·시술의 도움을 받아 땀 분비를 줄이고, 무좀 환자도 항진균제를 복용하거나 곰팡이를 죽이는 항진균 연고를 발라 치료하는 게 좋다. 항균비누를 사용해 발의 곰팡이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