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일본뇌염 매개모기 물리면, 무조건 일본뇌염 걸리나?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일본뇌염에 걸리면 두통, 구토 등이 생기고 혼수, 사망에 이를 위험이 있다/사진=질병관리본부 제공

질병관리본부가 지난 29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면서, 사람들이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 어느 때보다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일본뇌염은 얼마나 심각한 질환이고 이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Q. 일본뇌염은 어떤 질병인가?
A.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렸을 때 혈액 내로 전파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감염병이다.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신경계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은 질병입니다.

Q. 일본뇌염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생기나?
A.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일본뇌염 매개 모기에 물린 사람의 99% 이상이 무증상이다. 일부에서 열을 동반하고,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한다. 뇌염으로 진행하면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이상이 생기고, 급성기에는 의식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회복기에는 언어장애, 판단능력저하, 사지 운동저하 등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일본뇌염 매개 모기에 물리면 무조건 일본뇌염이 발생하나?
A.
모든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극히 일부에서 일본뇌염이 발생한다.

Q. 일본뇌염 환자와 접촉하면 일본뇌염에 걸릴 수 있나?
A.
일본뇌염은 사람 간에는 전파되지 않는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를 일본뇌염 모기가 흡혈한 후 사람을 물었을 경우에 전파된다.

Q. 일본뇌염 매개 모기 유충은 어디에 사나?
A.
논과 연못, 관개수로, 미나리꽝, 빗물 고인 웅덩이 등 비교적 깨끗한 물에서 서식한다. 고인 물이 없도록 모기 방제를 철저히 하는 게 좋다.

Q.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언제 받나?
A.
매년 여름철에 받아야 하는 계절 접종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권장 접종 시기에 맞춰 연중 어느 때나 접종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