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낮 기온이 30도에 육박하는 요즘 뜨거운 열로 인해 발생하는 '온열질환' 발생을 주의해야 한다.
대표적인 온열질환에는 일사병, 열사병이 있다.
일사병은 무더위에 오랜 시간 노출됐을 때 땀이 지나치게 배출돼 체액이 부족해져 발생하는 질환이다. 신체 온도가 정상 체온인 36.5도를 넘어 37~40도까지 올라간다. 일사병에 걸리면 심장의 심실에서 1분 동안 내보내는 혈액의 양인 심박출량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 체내 전해질과 영양분이 손실되고 수분 부족으로 이어져 탈수 증상까지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은 어지러움과 약간의 정신 혼란, 구토, 두통 등이다. 일사병 환자를 발견하면 시원한 곳으로 즉시 이동시켜야 한다. 이어 옷을 제거하는 등 몸을 편안하게 해줘야 한다. 대전선병원 건강검진센터 김기덕 센터장은 "이때 다리를 머리보다 높이 있게 하며 바르게 눕게 하는 것이 좋다"며 "의식이 뚜렷하고 맥박이 안정적이며 구토 증세가 없다면 서늘한 곳에서 안정을 취하게 하면 된다"고 말했다. 물이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해질 음료를 마시게 하는 것도 좋다. 하지만 구역감이 있거나 구토를 하는 경우에는 억지로 전해질 음료를 마시게 해서는 안 되고 정맥 주사를 통해 수액 보충을 하게 해야 한다.
열사병은 일사병과 달리 땀을 거의 흘리지 않는다. 사망 위험도 일사병보다 훨씬 높은 30%이며,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면 100%에 가까워진다. 일사병과는 달리 고온의 밀폐된 공간에 오래 머무르는 경우 발생한다. 특히 이러한 공간에서 노동, 운동 등의 신체 활동을 무리하게 해 인체의 체온 유지를 담당하는 중추 신경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게 직접적인 원인이다. 열사병이 발생하면서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간다. 정신 혼란, 발작, 의식 소실, 경련, 근육 강직 등이 나타난다. 김기덕 센터장은 "열사병 환자로 의심되는 사람을 발견하면 제일 먼저 의식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의식이 있다면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긴 다음에 옷을 벗기고 피부를 식혀 체온을 떨어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물을 먹여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즉시 병원에 데려가야 한다. 열사병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는 즉시 119에 신고한 뒤 구급차가 오기 전까지 역시 환자를 시원한 곳에 옮겨 옷을 벗기고 피부를 식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