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병원 찾는 '도박중독자' 급증… 20~30대가 70%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장서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도박중독으로 병원을 찾아 치료받는 사람들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사진=조선일보 DB

스스로 도박중독임을 인정하고 병원을 찾아 진료받는 사람이 해마다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중독자에 비하면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오늘(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도박중독'이라는 진단명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이 지난 2년(2014~2016년) 사이 48.2% 증가했다. 2014년에는 751명, 2015년에는 925명, 2016년에는 1113명이었다.

지난해 연령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30대가 37.2%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20대(32.5%)와 40대 (13.7%)가 뒤를 이었다. 20~30대 젊은 층 환자가 전체 환자의 약 70%를 차지한 것이다. 성별은 남자가 95.7%, 여자가 4.3%로 차이가 컸다.

그런데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의 2014년 실태조사를 보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도박중독률은 5.4%다. 전체 성인 인구에 대입하면 207만 명 정도가 살면서 한번은 도박중독을 경험한다는 의미다. 이에 비하면 도박중독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소수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도박중독 치료의 첫걸음이 스스로 중독자임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도박중독을 인정할 경우 현실 도피에서 오는 쾌감을 포기해야 하고, 도박으로 해결하려고 한 경제적인 어려움이 다시 생겨서 많은 중독자가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치료를 거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도박중독을 범죄와 연관 지어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과 중독자라는 낙인이 찍힐 것을 꺼리는 심리도 적극적인 치료를 방해하는 요인이다.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인지행동치료·단(斷)도박 모임 참가 등이 있다. 약물치료는 도박중독으로 인해 생긴 우울증·주의력 결핍 같은 이차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항우울제의 일종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갈망억제제 등이 주로 쓰인다. 전문의와 먼저 상담하고 성격·심리검사를 받은 뒤 적절한 약물을 처방받아야 한다. 인지행동치료는 '당신은 중독자인가', '도박은 돈의 문제인가' 등의 질문을 통해 환자의 잘못된 인식을 고치는 식으로 진행된다. 봉사·운동·독서를 결합한 행동조절훈련을 병행한다. 단도박 모임은 도박중독을 치료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여 체험기나 극복사례를 나누는 모임이다. 원활한 치료를 위해 중독자의 가족이 함께 모임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심평원은 "도박중독은 분명한 원인이 있고 치료할 수 있는 것"이라며 "도박에 거는 돈의 액수가 점점 늘어나거나 도박하지 않을 때 불안증세를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권해야 한다"고 밝혔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