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준 기자의 헬스 톡톡]
대한장종양연구회 연구팀이 국제학술지인 '위장병·간장학 저널'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젊은 사람들은 용종이 발견되는 비율이 낮아서 대장내시경의 효용성이 떨어진다. 대한장종양연구회는 2006년 6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전국 의료 기관 14곳에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55세 미만 성인 9만765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39세 그룹의 대장 용종 발견율은 19.2%였다. 40~ 44세 그룹은 24.2%, 45~49세는 29%, 50~54세는 36.1%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20~30대의 용종 발견율이 낮은 편이었다. 차재명 교수는 "수치만 따져 보면 젊은 층의 용종 발견율이 높은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20~30대의 용종은 대부분 크기가 아주 작고, 위험도가 낮았다"며 "만약 용종이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하더라도, 이들이 50대가 됐을 때 찾아내도 대부분 조기 치료가 가능했을 수준"이라고 말했다.

선별 검사가 목적일 때는 40대 이상이면서 ▲대장암 가족력이 있거나 ▲남성이거나 ▲대사증후군(비만·고혈압·고지혈증 등)이 있을 때 한 번쯤 받아보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