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알레르기성 비염, 감기로 착각하면 합병증까지… 어떻게 구별하나?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장서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알레르기성 비염'은 감기와 착각하면 제대로 치료할 수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사진=조선일보 DB

일교차가 큰 초봄에는 재채기와 콧물에 시달리는 비염(鼻炎) 환자가 늘어난다. 비염은 환절기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도 많고 만성 비염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많은 흔한 질환이지만, 구체적 원인을 알지 못하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다. 특히 알레르기성 비염을 단순 코감기인 급성 비염과 착각해 방치하면 축농증·중이염·천식·수면장애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면서 나타난다. 정상인의 코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적극적으로 방어하지 않지만,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코는 가능한 모든 방어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방어 반응들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인 재채기·맑은 콧물·코막힘·간지러움 등이다. 이중 재채기·맑은 콧물·코막힘은 급성 비염과 똑같이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간지러움은 알레르기성 비염만의 증상이다. 코와 목 깊숙한 곳이 간지러운 경우가 많은데, 환자에 따라 눈이나 귀 주변과 입천장이 간지럽기도 하다. 또한, 대부분 1~2주 안에 낫는 감기와 달리 알레르기성 비염은 원인물질이 사라지지 않으면 수개월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물질에는 집 먼지·진드기·꽃가루·곰팡이·반려동물의 털이나 비듬·바퀴벌레와 같은 곤충 부스러기 등이 있다. 호흡기를 통해 흡입돼 알레르기를 유발하므로 이불·베개·카펫 등을 자주 털고 세탁해 원인물질을 없애는 게 중요하다.

알레르기성 비염을 단순 감기라고 착각하고 방치하면 편도염·후두염·천식·축농증 등으로 병이 진행되기 쉽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해야만 완화되는 비염이기 때문에 감기약을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감기와 달리 목이나 코, 눈이 간지럽고 재채기와 콧물 증상이 2주 이상 간다면 병원을 찾아 알레르기성 비염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누런 콧물이 나온다면 이미 축농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는데,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피부반응검사나 피검사를 한다.

가장 많이 쓰는 치료법은 ‘항히스타민제’ 복용이다. 알레르기의 원인인 알러젠을 소량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점점 많이 주사해 면역력을 올리는 면역치료 방법도 있으나 수년 동안 지속해야 한다. 코막힘이 심한 경우 수술을 하기도 하는데, 수술은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할 뿐 알레르기성 비염 자체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병원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할 것을 권장한다. 침구 커버를 비침투성 재질로 바꾸고, 침구류는 자주 세탁해 햇볕에 말려야 한다. 집 바닥은 카펫을 깔지 않아 청소하기 쉬운 재질인 게 좋다. 실내 습도는 40% 이하, 실내 온도는 20~22ºC를 유지하고 매일 환기한다. 특히 미세먼지나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많은 봄에는 외출 시 마스크를 쓰고, 귀가 후에는 꼭 목욕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