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항생제 사용으로 생긴 장염(CDI)의 재발률을 낮추는 항체의 효과가 입증됐다. 항생제 연관 장염은 항생제가 정상 세균총을 파괴해 독소 A와 B를 분비하는 세균(클로스트리듐 디피실 균)을 증식시켜 설사와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병원성 설사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서울백병원 소화기내과 김유선 교수팀을 포함, 전 세계 총 322개 의료기관에서 2011년 1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항생제 연관 장염 환자 2559명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독소를 중화시키는 항체(항 독소)인 A항체(악토주맵), B항체(베즐로톡주맵), A+B항체(두 항체 함께 투여), 위약 군 등 4그룹으로 나눠 약물 투여 후 12주간 효과를 살폈다.

그 결과, 위약을 투여한 환자들의 평균 재발률은 26.6%로 나타났지만, B항체를 투여한 환자의 장염 재발률은 16.5%로 위약 군보다 10.1% 포인트 낮았다.

위약 복용자 중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재발률이 31.4%로 높았지만 B항체 투여 후 재발률이 15.4%로 낮아졌다. 특히 1회 이상 재발한 환자의 경우 41.1%, 2회 이상 재발한 경우 42.1%로 재발률이 매우 높았지만, B항체 투여 후 역시 13~16%가량 재발률이 낮아졌다. 

A항체 투여군은 재발률이 26%로 위약 투여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A와 B항체를 함께 투여한 군은 15.4%로 재발률이 낮아져 독소 B에 대한 단클론 항체가 재발률을 10% 포인트 가량 낮추는 효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김유선 교수는 "B항체(베즐로톡주맵 항체)가 클로스트리듐균이 분비하는 독소 B를 중화시켜 세포에 결합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65세 이상 노인이나 한 번 이상 재발한 환자의 경우 재발이 반복할 수 있어 치료제 개발 시 사망률과 의료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3년도에 발표된 대한장연구학회 연구 결과, 항생제 연관 장염(CDI)으로 입원한 환자 수가 5년 사이(2004~2008년) 1.6배 증가했으며 미국의 경우 10년간 10배 이상 증가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료에 따르면 클로스트리듐 디피실 감염으로 매년 1만5000여 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점점 더 독소 분비가 많고 약제에 듣지 않는 강한 균주가 나타나 2000년부터 2007년 사이 사망률이 400%나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다.




이미지
서울백병원 소화기내과 김유선 교수/사진=서울백병원 제공

한편, 이번 연구는 영국, 미국, 독일, 이스라엘, 스페인, 캐나다, 호주, 칠레, 한국, 일본 등 30개 나라의 의료진이 참여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백병원 김유선 교수와 대한장연구학회 연구자들을 포함한 15개 기관에서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미국 학술지인 NEJM(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