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시니어 건강

한국인 평균수명은 82.1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을 넘었다. 하지만 늘어나는 수명에 비해 노년의 삶은 녹록지 않다. 노년층은 신체적·사회적·경제적으로 많은 상실을 경험하면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노년층의 건강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영양이 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선 잘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노년층은 신체 기능 저하, 사회적 고립으로 인해 쉽게 영양 부족이 발생한다.
노년층 영양 불균형 심각 나이가 들면 근육은 줄고 지방은 늘어난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근육 감소가 더 많고, 뼈도 약해지기 때문에 골다공증에 걸리기 쉽다. 따라서 노년층은 적절한 단백질 섭취와 함께 근력운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많은 노년층이 운동은 고사하고 영양불량으로 건강을 해치고 있다. 영양불량은 노년층의 체력을 저하시키고 삶의 질을 낮춘다. 체중 감소가 있을 때는 고관절 골절이나 척추 골절 위험이 커져, 사망위험이 2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노년층의 영양불량은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문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결과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 인구의 영양소 섭취는 전반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이 하위 15%에 해당하는 저소득층 가구의 19.3%는 모든 가족이 원하는 만큼의 충분한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 또 복지관 이용 노년층과 일부 농촌지역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영양평가에선 65세 이상 여성의 83%가 영양불량 위험군이다. 특히 노년층의 33%는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고, 70%는 칼슘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된다.
일반적으로 노년층 영양소 섭취 상태는 다른 연령층과 비교해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노년층 절반 이상이 여러 가지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고, 영양 관련 질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하지만 노년층의 영양불량은 고혈압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 위험을 높이고 삶의 질을 낮춘다는 점에서 개선해야 할 문제다.

PART 1 모든 연령대에서 노년층 영양이 가장 불량
우리나라 노년층 영양소 섭취 상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불량해 영양위험집단으로 분류된다. 총칼로리와 단백질을 비롯해 무기질, 비타민 등 섭취량이 권장량을 충족하지 못하고, 칼슘과 비타민A, 리보플라빈 등도 평균 섭취량이 권장량의 60%밖에 되지 않는다. 식품군별로 보면 곡류와 채소류 섭취는 비교적 양호하지만 육류, 과일류, 유제품의 섭취량이 매우 낮다. 실제로 동물성 식품인 육류, 난류, 어패류 경우 성인 섭취량이 189.3g인 반면 노년층은 88.3g에 그쳐 성인층의 47% 정도만 섭취했다. 유제품의 경우도 성인층 52.6g에 비해 노년층은 22.8g으로 절반을 못 미쳤다. 과일류도 성인 섭취량의 60%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
노년층은 왜 영양불량에 시달리나?
1 잃어버린 미각
노년층은 노화로 인해 맛과 냄새에 대한 감각을 잃게 된다. 74~85세 노년층의 경우 혀에서 맛을 느끼는 감각의 수가 88개로, 아이와 성인(평균 245개)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 맛에 대한 감각이 없어지다 보니 더 짜고, 더 달게 먹게 되면서 식욕에 떨어지게 된다. 특히 음식을 더 짜게 먹게 되면서 혈압 건강을 해치게 된다.
2 약해진 치아
치아도 음식 섭취의 걸림돌이다. 65세 이상 노년층의 절반은 거의 자신의 치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틀니의 경우 60세 이상 노년층의 20%가, 70세 이상 노년층의 48%가 사용하고 있다. 자신의 치아가 아닌 경우 씹는 능력이 75~85%로 떨어져 음식 먹는 즐거움이 줄어든다.
3 떨어진 소화 능력
소화장애도 노화의 영향을 받는다. 나이가 들면 위점막이 위축돼 음식 흡수가 잘 되지 않는다. 60세 이상 노년층의 24~50%는 위축성위염을 앓는 것으로 보고된다. 장운동이 약해 변비도 흔하게 발생한다. 위염과 변비 때문에 음식량이 줄고, 다시 줄어든 음식량이 변비와 위염을 악화 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4 어려운 식사 준비
독거노년층은 음식을 혼자 준비해서 식사해야 한다. 홀로 식사할 때는 균형 있는 식사를 하기 어렵다. 물에 밥을 말아 김치를 얹어 먹는 떼우기식 식사가 많다. 거동이 불편해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에 번거롭고 힘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노년층은 냉장고에 있는 반찬 몇 가지로 식사한다.
5 낮은 경제 수준
2013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빈곤율은 48.1%로 약 절반이 빈곤층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중도 29.9%로 매년 늘고 있다. 균형 있는 식사를 위해선 고기, 과일, 채소 등을 구매해야 하지만 노년층 빈곤이 해당 물품의 구매력을 낮춘다. 이에 65세 이상 인구 중 41%가 칼로리 섭취를 제대로 하지 못하며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 노년층도 35.8%나 된다.
6 노년층 90% 만성질환
보건사회연구원 2014년 노년층실태조사에 따르면, 노년층 만성질환 유병률은 90%이고, 복합질환자는 70%에 달했다. 이로 인해 노년층은 많은 의약품을 복용하게 된다. 실제로 65세 이상 평균 의약품 성분수는 6.72개, 매일 복용하는 의약품 수는 평균 4.02개나 된다. 의약품의 흔한 부작용 중 하나는 식욕부진과 소화불량이다. 노년층은 기초체력이 약한데다 복용 의약품이 많아 부작용에 쉽게 노출된다.

PART 2 노년층의 일일 영양 권장량은 얼마나 되나?
노년층은 신체활동과 기초대사량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필요한 하루 열량이 평균보다 낮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에서 발표한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르면 65세 이상 남성은 2000kcal이며, 여성은 1600kcal다. 총칼로리와 함께 중요한 것이 단백질이다. 노년층은 줄어드는 근육량을 보충하기 위해서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우리나라 노년층의 일일 단백질 권장 섭취량은 남성 55g, 여성 50g이다. 하지만 칼로리와 단백질 모두 국내 절반 이상의 노년층이 권장 섭취량을 먹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도 신체 에너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섭취를 피해선 안 된다. 65세 이상 남성과 여성 모두 일일 지방 권장 섭취량은 15~30g이다.
영양소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수분이다. 노년층은 체내수분량이 쉽게 줄지만 갈증 반응이 둔해져, 수분 섭취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때가 많다. 따라서 노년층은 갈증이 없더라도 수시로 물을 마셔줘야 한다. 노년층의 일일수분섭취 권장량은 남성 2100mL, 여성 1800mL이다. 이와 함께 칼슘과 비타민D 섭취도 매우 중요하다. 노년층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 활동이 적고, 비타민D 결핍이 쉽게 온다. 유제품 섭취가 적어 칼슘 섭취도 부족한 경우가 많다. 비타민D와 칼슘 섭취가 부족하면 골밀도가 감소해 골다공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비타민D는 남성과 여성 모두 100㎍이내로 섭취하면 된다. 칼슘도 2000mg 이내로 먹으면 충분하다. 나트륨은 1300~2000mg 이내로 먹으면 좋다.


PART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노년층 식생활 실천지침
1 채소, 고기나 생선, 콩 제품 반찬을 골고루 먹자
- 다양한 채소 반찬을 매끼 먹습니다.
- 고기가 생선, 달걀, 콩 제품 반찬을 매일 먹습니다.
2 우유 제품과 과일을 매일 먹자
- 우유, 요구르트나 두유를 매일 먹습니다.
- 다양한 제철 과일을 먹습니다.
3 많이 움직여서 식욕과 적당한 체중을 유지하자
- 자신에게 알맞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합니다.
- 많이 걷고 움직이는 생활을 합니다.
4 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자
- 장아찌, 젓갈 같은 짠 음식을 적게 먹습니다.
- 음식을 만들거나 먹을 때 소금이나 간장을 적게 사용합니다.
- 국과 찌개의 국물을 적게 먹습니다.
5 술을 절제하고, 물을 충분히 마시자
- 되도록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 술을 마실 때는 하루 1잔 이내로 제한합니다.
(1잔은 소주로는 1.5잔, 맥주로는 1캔, 양주로는 1잔에 해당)
- 물을 자주 마십니다.
6 세 끼 식사와 간식을 꼭 먹자
- 세 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다.
- 조금씩 자주 먹습니다.
7 음식은 먹을 만큼 준비하고, 오래된 것은 먹지 말자
- 음식은 한꺼번에 많이 만들지 않습니다.
- 남은 음식은 바로 냉장보관하고, 오래된 것은 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