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향수 냄새 맡고 어질~ '편두통' 의심을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조선일보 DB

편두통은 증상이 다양해서 스스로 편두통인 것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증상에 맞는 약물을 복용하는 게 중요한데, 편두통인 것을 모르면 증상 관리가 제대로 안 돼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편두통이 생기는 상황은 사람마다 다르다. 대표적으로 ▲운동 중 ▲월경 후 ▲향수 냄새를 맡았을 때 ▲밝은 빛을 봤을 때 ▲시끄러운 소리를 들었을 때 ▲자동차를 탈 때 ▲치즈·초콜릿·커피를 섭취했을 때 나타난다. 사람마다 원인이 각양각색이라 진단이 잘 안 되며, 편두통을 진단받기까지 수십 년 걸리는 경우도 있다.

성인이 겪는 편두통 중 80%를 차지하는 게 무조짐 편두통인데, 피로감·무기력감·하품·울렁거림·구토·집중력 저하·근육 경직·갈증·복통 같은 예고 증상이 나타난 뒤 두통이 온다. 두통이 바로 나타나지 않고 예고 증상을 겪은 뒤 길게는 이틀 후에 두통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서, 단순한 과로·스트레스·소화불량쯤으로 여기고 지나치기도 한다.

편두통을 의심해볼 수 있는 상황은 ▲특정 상황에서 울렁거림 등 전조 증상이 있으면서 ▲머리의 한 부분이 욱신거리고 ▲체했을 때 두통이 동반되고 ▲평소 소리·냄새·빛 등에 민감한 편이고 ▲가족 중 편두통 환자가 있을 때 등이다. 편두통이 의심된다면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편두통을 겪는지 확인하고, 그 상황을 피해야 한다. 유발 요인을 피하기 어렵거나 1주일에 두 번 이상으로 자주 겪으면 약을 복용하는 게 좋다. 주로 항우울제, 항경련제, 베타차단제 등을 쓴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