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과

올챙이몸, 지방간 위험 높아… 내장지방 다이어트 필수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내장지방이 많은 올챙이몸은 지방간을 겪을 위험이 높다/사진=헬스조선 DB
내장지방이 많을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잘 생긴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마른 상태에서 배만 나온 '올챙이몸'인 사람은 지방간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고은 교수(소화기내과)와 스탠퍼드대학 김동희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0여 명의 복부 CT 사진을 바탕으로 내장지방과 피하지방 면적을 측정, 지방 종류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발생·호전과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그 결과, 내장지방이 가장 많은 환자 20%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위험이 내장지방이 가장 적은 환자 20%의 2.23배에 달했다. 반면 피하지방이 가장 많은 환자 20%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호전율은 피하지방이 적은 환자 20%에 비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과 비만이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알려졌지만, 지방 종류에 따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위험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정확히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방간은 간 전체 무게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중이 5%를 넘어선 상태를 말한다. 성인 10명 중 3명이 앓을 정도로 흔하지만, 이를 오래 내버려 두면 염증이 생기고 딱딱해지면서 지방간염이나 간경변, 간암까지 악화될 수 있다.

술을 많이 마셔서 생기는 알코올 지방간은 전체의 20% 정도다. 술을 아예 마시지 않거나 조금만 마시는데도 지방간이 나타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대다수다. 과체중,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원인으로 알려졌다.

정고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체내 지방의 종류에 따라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통한 외적인 피하지방의 감소가 아닌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조절을 통한 내장지방의 감소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 위장병학-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016년 1월호에 실렸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