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조사결과 발표

이미지
6세 미만 어린이 교통사고 당시 카시트 착용률/사진=복지부 제공

혹시 모를 교통사고로부터 자녀의 안전을 지키려면 자녀에게 '카시트'를 착용시켜야 한다.

질병관리본부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사고경위·결과 약 5만4000건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교통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6세 미만 어린이 3240명 중 31%만 카시트를 착용하고 있었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카시트 착용률이 감소했다. 6세 미만 어린이 교통사고에서 가장 많이 다치는 부위는 머리(60.6%)였고, 몸에 두 군데 이상 손상을 입은 비율이 14.1%이었으며, 그 뒤로 목(10.7%), 팔다리(7.4%)에 손상이 잘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전 생애에 걸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외상성 머리손상'을 겪은 비율도 27.7%나 됐다.

중요한 것은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아이는 외상성 머리손상을 입은 비율이 31.7%인데 반해, 카시트를 착용한 아이는 18.6%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머리손상 위험이 2.1배 높았던 것이다. 사망률을 포함해 응급수술이나 중환자실 입원이 필요한 심각한 증상이 발생하는 것도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아이에게서는 2.1%, 카시트를 착용한 아이에게서는 1% 비율로 나타났다. 즉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위험이 2.2배 높았다.





이미지
6세 미만 어린이 교통사고 당시 카시트 착용률/사진=복지부 제공

질병관리본부 정기석 본부장은 "연말 가족여행이나 평소 나들이 때 차량 동승 시에는 반드시 자녀의 소중한 생명과 건강을 위해 연령과 체중에 맞는 카시트를 착용해야 한다"며 "다른 가족 구성원도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