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나이 들어도 치아교정 효과 제대로 볼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6/12/05 07:00
치아교정 궁금증 Q&A
활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을 맞아 치아 교정을 알아보는 사람이 많다. 학생인 자녀를 둔 부모도 방학을 맞아 자녀의 치아 교정 치료 시작 시기를 본격적으로 고민하는 때다. 치아 교정에 대한 궁금증을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교정과 안정섭 교수의 도움말로 풀어봤다.
Q. 교정이 필요한 사람은 누구인가?
A. 치아 개수가 정상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 치가아 바뚤어져 겹쳐 있거나 치아 사이 공간이 있는 경우, 위아래 치아가 잘 맞지 않아 씹는 기능이 잘 안되는 경우, 무턱이거나 주걱턱, 안면비대칭이 있는 경우다.
Q. 교정 치료는 꼭 받아야 하나?
A. 이가 비뚤고 많이 겹쳐진 경우는 칫솔질을 꼼꼼이 해도 음식물이 치아 사이 남아있기 쉽다. 이는 세균이 잘 자라는 환경을 만들어 충치나 갖가지 잇몸병을 유발한다. 위아래 치아가 잘 맞지 않는 경우는 음식물을 제대로 씹지 못해 소화불량이 생길 위험도 있다. 실제로 앞니가 물리지 않고 떠 있어 면을 끊어먹기 어렵다고 호소하는 환자가 적지 않다. 외모적인 자신감을 갖는 데도 도움이 된다. 앞니가 고르지 못하면 활짝 웃지 못하고 입을 가릴 뿐 아니라, 주걱턱이 있거나 턱이 비대칭인 사람은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생길 수도 있다. 실제 교정 치료를 받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자존감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
Q. 교정치료는 언제 해야 하나?
A. 성장기에 빠른 교정이 필요한 사람은 주걱턱이나 무턱같이 위아래 턱관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다. 특히 위턱에 비해 아래턱이 큰 주걱턱의 경우 나이 들수록 치료 효과가 점차 떨어져 가능하면 빨리 턱교정 치료를 시작하는 게 좋다. 무턱은 위턱이 아래턱보다 상대적으로 나온 것이다. 이 경우 방사선 검사를 통해 뼈 성장 상태를 파악하여 사춘기 최대성장기 1~3년 전에 턱교정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이 시기가 키와 체중이 크게 증가하는 시기인데, 이 때 턱도 빠른 성장이 일어난다.
치아에 병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에도 조기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가령 유치(乳齒)가 너무 일찍 빠져 버린 경우에는 뒤 치아들이 앞으로 쏠리면서 영구치가 나올 공간이 사라져 버린다. 따라서 공간유지장치를 이용해 유치가 차지하던 공간을 유지해 주거나, 이미 공간이 사라진 경우는 이를 다시 확보해주는 교정치료가 필요하다. 과잉치나 매복치가 있는 경우도 빠른 치료가 필수다. 과잉치는 정상적인 치아 외에 필요 없는 치아가 있는 경우인데, 이것이 다른 영구치가 정상적으로 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치아가 나오지 않고 뼈 속에 숨어있는 매복치도 빨리 치료받아야 한다. 해당 치아가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치아가 제 방향으로 나올 수 없도록 방해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다.
현실적으로 보호자가 치과의사의 도움 없이 이 같은 문제들을 모두 파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아이의 앞니에 영구치가 나오는 6~7세 경에 치과를 방문하여 교정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아 문제가 없는지 알아보고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영구치가 잘 나오고 있는지 확인하는 게 안전하다. 병적인 문제는 없지만 치아 배열이 고르지 못하거나입이 돌출된 경우라면 영구치열이 어느 정도 완성되는 12~14세 정도에 교정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 시기에는 치아 이동이 빨라 치료 기간이 짧다. 한편 성장이 마무리 된 성인이라면 턱교정치료는 불가능하다.
Q. 이를 꼭 빼야하나?
A. 교정치료 계획을 세우다 보면 불가피하게 치아를 빼야 하는 경우들이 있다. 최근에는 교정치료 기술이 많이 발달하여 예전에는 발치가 필요했던 일부 경우들도 치아를 빼지 않고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발치가 필요한 경우인데 무리하게 발치 없이 교정치료를 진행할 경우 이가 뻐드러져 잇몸 건강이 나빠지고 미용적으로도 만족하지 못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Q. 치료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
A. 대개 위 아래 치아 전체를 교정하는 경우에는 치료 난이도에 따라 18~30개월 정도 소요된다. 그 동안 4~6주에 한 번씩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