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절질환

류마티스관절염, 혈액검사만으론 오진 가능성 높다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퇴행성관절염과 헷갈리기 쉬워… 6주 이상 통증·염증 유무 살펴야
전문의에게 진료 받아야 정확

주부 김모씨(53)는 일년 전부터 아침이면 손이 뻣뻣하고 손가락 관절이 튀어나온 증상이 있어 정형외과의원을 찾았다. 의사는 "류마티스관절염 증상 같다"며 "혈액 검사를 해보자"고 말했다. 검사 결과 류마티스관절염을 의심할 수 있는 혈액 속 '류마티스인자'가 양성으로 나왔다. 김씨는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을 받고, 치료약인 항류마티스약제(MTX)·스테로이드제를 처방받았다. 그러다 지인 권유로 류마티스내과 진료를 받은 결과, 류마티스관절염이 아니었고 노화로 인해 생긴 퇴행성관절염이었다.

김씨처럼 류마티스관절염이 아닌데도, 류마티스관절염으로 진단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 성빈센트병원 류마티스내과 박경수 교수는 "대학병원 류마티스내과에서 처음 진료를 받은 환자의 4분의 1만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을 받는다"며 "류마티스관절염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류마티스관절염이 과잉진단 되는 경우가 꽤 있다"고 말했다.

혈액검사 결과만 신뢰하면 안돼


과잉진단이 이뤄지는 이유는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이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류마티스관절염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4가지 항목을 봐야 한다. ▲증상(특정 관절에만 아침에 강직·통증·부기가 6주 이상 나타남) ▲혈액검사(류마티스인자, 항CCP항체 양성) ▲혈액 속 염증지표물질(CRP 등 수치 상승) ▲영상검사(초음파 등으로 관절 활막에 염증 유무 확인) 결과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이미지

류마티스관절염은 혈액검사 결과만 의존해 잘못 진단받는 경우가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과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염증을 확인하는 등 의사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원광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이명수 교수는 "관절 강직이나 통증은 나이가 들면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라 최근 혈액을 통해 류마티스인자 등을 확인하는 검사를 많이 한다"며 "일부 의사들은 혈액검사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혈액검사 결과만 가지고 류마티스관절염으로 진단하고 부적절한 치료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마티스관절염 진단 시 흔히 체크하는 혈액 속 류마티스인자는 나이가 많거나, B형간염 보균자도 양성으로 나올 수 있다. 이명수 교수는 "건강한 성인 5%에서도 류마티스인자가 양성이 나온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혈액검사에서 항CCP항체나 염증지표물질을 같이 봐야 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도 잘 감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진으로 약 복용하면 각종 질병 발생

현재 류마티스내과 분과 전문의가 적어 류마티스 질환만 전문적으로 보는 동네의원 의사가 적은 것도 한계이다. 최근 대한류마티스학회에서 전국 19개 대학병원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11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3.3%는 류마티스내과 방문 전 다른 진료과를 방문했다.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을 잘못 받아서 필요없이 항류마티스약물 등을 먹으면 면역력이 저하돼 각종 병원균의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독감과 폐렴은 물론이고, B형간염 보균자는 바이러스가 증식해 간염 위험이 높아진다. 우리나라는 잠복 결핵 환자가 30% 가까이 되는데, 항류마티스약물로 면역력이 저하되면 결핵균이 활성화가 될 수 있다.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박성환 교수는 "동네의원이나 타 진료과에서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을 받았다면 류마티스 전문 의사에게 다시 한 번 확진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류마티스관절염과 헷갈리는 질환



이미지

퇴행성관절염=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많이 사용하면서 관절 주변의 뼈 등이 자란 것이기 때문에 만지면 딱딱하다. 박경수 교수는 "류마티스관절염은 관절을 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생긴 것이라 빵빵하게 부어있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퇴행성관절염은 주로 손가락 첫 마디에 생기고, 류마티스관절염은 손가락 두 번째 마디에 잘생긴다.〈그래픽

갱년기 관절증=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서 인대·힘줄에 탄력이 떨어져 아침에 손이 뻣뻣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조금만 움직이면 좋아진다. 류마티스관절염은 아침에 일어나서 1~2시간이 지나야 좋아진다.

방아쇠 수지=방아쇠 수지(손가락 근육을 감싸고 있는 막에 퇴행성 변화가 생겨 손가락이 방아쇠를 당기는 듯한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현상)는 손가락 한 개만 아픈 경우가 많지만, 류마티스관절염은 모든 손가락이 아프고 붓는다.


☞류마티스관절염
면역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변해 정상 조직인 관절 활막(관절을 싸고 있는 얇은 막인)을 공격, 만성 염증이 생기는 자가면역질환. 활막 염증이 계속되면 1~2년 내 연골·뼈도 손상되므로 조기 치료를 해야 한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