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칼럼
아기를 위한 최고의 선물, 올바른 산전·산후 관리
글 김진아(단아안청아한의원 대표원장)
입력 2016/08/22 11:17
메디 에세이
여성의 ‘결혼’과 ‘출산’은 경력의 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그 때문에 자신의 커리어를 쌓아가는 여성들에게 이 두 가지는 가능하면 뒤로 미루고 싶은 선택지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통계청에서 발표한 ‘평균 결혼(초혼) 연령’을 살펴보면 2000년에 남성 29.3세, 여성 26.5세던 추세가 2015년에는 남성 32.6세, 여성 30.0세로 각각 3세 이상이 증가했습니다. 실제로 같은 기간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 역시 29.0세에서 32.2세로 높아졌습니다. 즉, 30대 출산이 보편화가 됐다는 말이며, 이는 다시 노산(老産)의 빈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노산의 기준 연령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노산의 정의는 산모의 신체적 상태가 저하됐음을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내외부적 요인으로 신체의 건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직장 여성의 경우 불규칙한 식사, 업무 스트레스, 과도한 냉난방에 의한 체내 자율신경계 교란 등 체내 면역력이 저하되고, 자궁의 기운이 허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가임기 여성의 건강 저하와 직결되는 바로 유산(遺産)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14년 유산의 문제로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 수는 약 9만5000명에 달합니다. 또한 가임이 되지 않는 즉, 불임에 문제로 내원하는 인원 또한 연간 16만 명이 넘고 있으며, 해마다 이 수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여성은 임신 기간 동안에 많은 변화를 겪습니다. 자신이 흡수한 에너지를 공유하고,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 등과 같은 여성호르몬 분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출산(出産) 후 다시 임신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변화를 다시 겪게 됩니다.
잠시 예를 들면 물리학 법칙 중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란 것이 있습니다. 모든 에너지는 소멸하는 일 없이 형태만 바뀔 뿐 그 총량이 유지된다는 것인데, 이는 역설적으로 에너지가 항상 유지돼야 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산모의 경우 임신 과정 동안 평소 예정돼 있던 것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산모 자신을 위한 에너지가 소실됐다는 것인데, 이 에너지를 보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런 일련의 과정이 바로 산전·산후 관리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신의 일을 가진 여성이 많은 만큼 임신 후에도 일을 최대한 이어가는 경우가 많아, 산모인 자신을 돌보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특히 노산인 경우 이러한 부담은 더 크게 다가오게 되며, 실제로 이런 과정에서 바른 관리가 없다면 만성고혈압이나 임신중독증, 난산, 임신성 당뇨, 심하게는 유산까지 이어질 수 있게 됩니다.
출산 후에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다시금 급격한 호르몬 분비 변화로 심신(心身)이 모두 위험에 노출되며, 각종 출산 후유증에 시달릴 수 있게 되는데, ‘산후풍(産後風)’이 그것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출산 후 약 6주 동안 쇠약해진 체내 기혈을 회복하는 것을 두고 ‘산욕(産褥)’이라 하는데, 이 기간에 관리를 소홀히 했을 때 산후풍이 나타난다고 봅니다. 아울러 산후풍은 유산 후에도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임신과 출산은 여성이 갖는 고유의 특권이자 권리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책임은 오롯이 산모 자신에게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변 가족의 신경이 매우 중요하며, 그 과정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아울러 태어날 아이를 위해서도 엄마의 건강은 중요합니다. 올바른 산전·산후 관리는 산모는 물론 내 아이, 그리고 가족 모두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김진아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