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고령자 임플란트, '이것' 부터 체크하세요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고령자 임플란트 주의사항

지난 7월부터 65세 이상도 임플란트와 틀니에 대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고령자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임플란트는 한 번 시술로 최소 10년에서 길게는 30년 이상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치료와 장기적인 관리 및 검진이 필수다. 노년층 환자들이 임플란트 시술 전 주의해야 할 점을 알아본다.

 




이미지

고령자는 잇몸 뼈가 파괴되거나, 만성질환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임플란트 전 자신의 상태를 꼼꼼히 파악한 뒤 시술을 받아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잇몸 뼈 훼손됐다면 '뼈 이식 임플란트' 고려해야
임플란트는 치아가 상실된 경우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 인공치아를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65세 이상의 환자들은  틀니나 브릿지 등을 수년간 사용하거나 치아가 빠진 후 오랫동안 방치해 잇몸 뼈가 파괴되거나 심하게 흡수된 경우가 많다.

이처럼 잇몸 뼈가 부실하면 임플란트 시술을 바로 시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뼈 이식 임플란트'를 고려하게 된다. 뼈 이식 임플란트는 환자 자신의 뼈나 인공 뼈를 이식해 뼈의 양을 늘린 후 시술하는 방법이다. 예전에는 주로 엉덩이 뼈를 이용했지만, 최근에는 임플란트를 심을 부위 근처의 턱뼈를 사용한다. 턱뼈를 사용하면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국소 마취를 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부위에서 뼈를 채취할 경우 시행해야 하는 추가적인 마취 과정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스다인치과 강성용 대표원장은 "간단한 뼈 이식수술은 20~30분 정도로 짧은 시간 안에 가능하다"며 "부분 마취를 하기 때문에 수술 시 통증도 거의 없고, 회복까지 약 3~6개월 정도 걸린다"고 말했다.

◇시술 전, 만성질환 여부 반드시 알려야
당뇨병이나 고혈압, 골다공증 등 만성질환을 겪고 있다면 임플란트 시술 전 의료진에 반드시 알려야 한다. 만성질환이 임플란트 시술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갑자기 혈압이 상승해 뇌졸중, 심근경색 등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은 시술 중 밀려드는 심리적 스트레스 탓에 체내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는 과혈당이 잘 생긴다. 또한 치과치료로 식사 시간이 늦어질 경우 저혈당이 생기기도 한다. 급격한 과혈당이나 저혈당은 쇼크나 실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임플란트 치료 전 혈당체크가 필수다. 시술 전날에는 무리하지 말고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또한 저혈당 방지를 위해 아침을 반드시 먹는 것이 좋다. 강성용 대표원장은 "임플란트는 수술과 보철물 장착이라는 두 개의 과정으로 진행되므로 각 분야별 협진 시스템이 잘 돼 있고 치골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비가 갖춰진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