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주걱턱 악교정 수술하니 발음까지 좋아져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주걱턱이라 부르는 3급 부정교합을 악교정 수술과 교정 치료를 시행한 결과, 외모 뿐만 아니라 발음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대병원 치과병원 김영호 교수(치과병원장 겸 임상치의학대학원장)는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대학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주걱턱 성향을 보인 환자가 정상 골격을 지닌 사람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발음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에 김영호 교수팀과 삼성서울병원 구강외과팀은 주걱턱 환자의 악교정 수술 전후 발음을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을 받을 경우, 주걱턱 환자의 발음이 정상으로 회복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3급 부정교합 24명(남성 12명, 여성 12명)과 정상교합 24명(남성 12명,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8개 단모음(이, 에, 애, 아, 어, 오, 우, 으) 에 대한 발음을 측정 분석했다. 연구결과 주걱턱 환자는 ▲아래턱의 과도한 성장 ▲위턱의 상대적 열성장 ▲혀의 상대적인 저위치 등 골격적 문제로 인해 비정상적인 발음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혀의 위치가 정상교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래턱이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것도 원인 중 하나라는 사살을 밝혀냈다. 이러한 주걱턱 환자의 비정상적 발음 소견은 악교정 수술 후 6개월이 지나 재측정한 결과 정상교합자의 발음에 가까워졌다.

김영호 교수는 “주걱턱 환자가 흔히 ‘발음이 새는 것 같다’, ‘혀 짧은 발음이 나온다’고 호소하는 이유는 주걱턱의 구조적인 특징과 관련된 문제”라며 “주걱턱 환자는 영어 발음을 할 때에도 ‘s’ 발음 등의 마찰음이 왜곡되어 나오는데, 예를 들어 ‘스마일(smile)’을 ‘츠마일’로 ‘스포츠(sports)’를 ‘츠포츠’로 발음한다. 발음의 문제도 심각한 사회적 장애가 될 수 있으니 악교정 수술 후에 발음이  개선되는 효과는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 개인에게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또 김 교수는 “발음 개선 효과는 개인차가 클 수 있고, 악교정 수술 후 체계적인 발음 훈련을 통해 좀 더 완벽한 발음을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발음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두개악안면 외과학회지(Journal of Cranio-Maxillo-Facial Surgery)에 게재했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