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칼럼

고등어는 죄가 없다

헬스조선 편집장 김공필

편집장 레터

‘한밤중에 목이 말라 냉장고를 열어보니… 어머니는 고등어를 구워주려 하셨나보다…’가수 김창완 씨가 만든 <어머니와 고등어>의 가사 일부입니다. 이 노래를 들으면 마음이 짠하면서도 푸근해집니다. 무엇이든 넉넉하지 못했던 시절, 살이 두툼한 고등어는어머니의 자식 사랑을 넉넉히 담을 수 있는 생선이었습니다. 우리의 어머니들은 비교적 값이 싸면서도 푸짐한 고등어를 정성껏 조리해 자식들에게 단백질을 공급해주셨지요. 건강에 관심을 가지는 중년이 되어서야 알았지만, 고등어는 불포화지방산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가 풍부해 뇌와 심장, 혈관 등 우리 몸에 아주 좋은 식품입니다. 이처럼 고마운 생선인 고등어가 최근에 궁지에 몰렸습니다. 바로 미세먼지 때문입니다.

환경부는 밀폐된 실내 주방에서 식재료를 구울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해 지난 5월 23일 공개했습니다. 식재료 중 고등어가 1㎥(세제곱미터) 당 2290㎍(마이크로그램)의 미세먼지를 발생해 가장 높았고 삼겹살 1360㎍, 달걀 프라이 1130㎍, 볶음밥 183㎍ 순이었습니다. 모두 환경부의 미세먼지 ‘주의보’ 기준(90㎍/㎥)보다 2~25배 더 높은 수치로 충격은 컸습니다. 특히 고등어는 ‘미세먼지 발생의 주범’으로 몰리면서 가격이 급락하기도 했습니다. 후유증이 심각해지자 환경부는 6월 6일 “환기를 충분히 시키면 건강 피해가 없다”고 해명해 파문은 가라앉았지만 ‘고등어=미세먼지’ 등식은 소비자에게 깊이 각인되었습니다.

정말 미세먼지 걱정없이 집에서 고등어를 구워도 될까요? 정답은 ‘창문을 열고 후드(공기 배출 장치)를 튼 상태에서 짧은 시간에 구우면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논란에 휩싸인 환경부의 5월 23일자 보도자료에는, 밀폐 상태뿐만 아니라 환기시의 미세먼지 농도가 함께 공개되어 있습니다.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실내에서 고등어를 구울 때, 밀폐 상태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는 2290㎍이지만 후드를 가동하면 741㎍, 창문을 열면 176㎍로 낮아집니다. 창문을 연 상태에서 후드를 가동하면 117㎍까지 떨어집니다. 이 수치 또한 미세먼지 주의보 수준보다는 약간 높지만 조리시간을 줄이고, 조리 후에도 한참 동안 환기를 유지하면 크게 신경쓸 일은 아닌 듯합니다.

미세먼지는 기관지, 폐뿐만 아니라 심혈관, 암, 우울증까지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물질입니다. 특히 미세먼지는 장기간 누적되어 질환을 일으키는 만큼 ‘국민건강 백년대계수립’ 차원에서 굳건한 대책이 마련돼야 합니다. 장마철인 7월, 건강 유의하십시오.

/헬스조선 편집장 김공필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