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철 땀을 많이 흘리면 피부에 좁쌀 모양의 물집이 오돌토돌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땀구멍이 막히면서 나타나는 '땀띠'다. 가렵거나 따끔거리는 증상을 동반한다. 보통 별다른 치료 없이 넘어가지만,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긁으면 세균 감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땀띠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둬야 한다.
땀구멍이 막히는 대표적인 원인은 많은 양의 땀과 이에 따른 피지 감소다. 하지만 이 밖에도 습열과 자외선, 반창고 등에 의한 자극이나 비누의 과다사용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땀이 많이 흐르는 얼굴, 목, 가슴뿐만 아니라 피부가 접히는 겨드랑이 등도 주의해야 한다.
땀띠 예방법은 일단 땀이 잘 나지 않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사용해 땀이 나는 것을 막고, 땀을 증발시키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목욕이나 샤워를 자주 해 땀과 노폐물을 씻어내는 것도 좋다. 이때 비누를 과용하면 땀띠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옷은 완전히 벗는 것보다 흡수성 직물인 면 등을 한 겹 정도 입는 것이 좋다.
땀띠가 발생했다면 땀띠 연고나 오일, 로션을 발라 주어야 한다. 하지만 연고를 바른 후에 베이비파우더까지 바르면 자칫 피부가 더 자극받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가려움이나 따가움이 심할 때는 피부과에 내원해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등을 첨가한 피부 크림을 바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