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최근 커피가 발암물질이 아니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사진=헬스조선DB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커피를 발암물질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국제암연구소는 지난 1991년 커피를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2B군)'로 분류한 바 있다. 이후 25년만인 지난 15일 커피를 ‘인간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는 3군 물질’로 등급을 하향조정한다고 발표했다.

국제암연구소는 '란셋 종양학회지'에 커피, 마테차, 뜨거운 음료에 대한 발암성 평가 보고서 요약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천여 편의 관련 공개 문헌을 검토한 결과, 커피 섭취가 암을 유발한다는 충분한 근거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오진경 국립암센터 암예방사업과장은 "커피 섭취가 췌장암, 여성 유방암, 전립선암에 대해 발암효과가 없고 간암과 자궁내막암에 대해서는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많은 역학연구 결과가 있으며, 그 밖에 20여 종의 암에 대해서는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말했다.

국제암연구소는 1991년 커피에 대한 평가 외에도 차와 마테차에 대한 평가도 시행한 바 있다. 이 때 차와 마테차는 '인간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는 3군 물질'로 분류됐는데, 마테차를 뜨겁게 마시는 경우에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2A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번에 나온 커피 등에 대한 발암성 평가 보고에서는 차에 대한 발암성 재평가는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국제암연구소는 발암요인을 5개 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1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실함', 2A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음', 2B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3군은 '인간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음', 4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지 않을 개연성이 높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