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환경부는 한국 피앤지(P&G)가 제출한 페브리즈 성분자료를 공개하며 유해성 논란을 빚은 벤조이소치아졸리논(BIT)과 디데실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DDAC)가 각각 0.01%, 0.14% 검출됐으나 호흡기에 위해를 주는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환경부가 이같이 발표했지만 소비자의 불안감은 계속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화학 용품에 대해 고조된 불신 때문이다.

벤조이소치아졸리논(BIT)과 디데실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DDAC)는 각각 페브리즈에 미생물억제와 항균 기능을 부여한다. 환경부는 BIT에 대해 "미국 환경보호국(US EPA)과 유럽연합(EU)에서 이미 방향과 탈취용으로 허가된 성분"이라고 말했다. 또한, DDAC에 대해서는 "미국에서는 섬유탈취제에 0.33% 함량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국내 페브리즈의 DDAC 함량은 미국의 절반 이하이므로 안전한 수준이다"고 말했다.

DDAC가 체내에 축적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비판에, 환경부는 "DDAC가 체내에 축적되면 치명적 결과를 부를 수 있다고 가정했는데, DDAC는 물에 완전히 녹는 수용성 물질로 인체에 축적될 우려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다만 이들 성분에 대한 흡입 독성에 대한 위해성 자료는 현재 없는 만큼, 정부는 독성실험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흡입 독성은 호흡 시에 화학 물질이 몸 안으로 들어가 독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자동차 안이나 밀폐된 방 등에 페브리즈를 뿌리면 계속해서 페브리즈 성분을 흡입하게 된다. 특히 인형, 차 시트 등에 페브리즈를 듬뿍 뿌리고 향기를 흡입하는 내용의 광고가 나오는 국내에선 흡입 독성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 홍정섭 과장은 "흡입 독성에 대한 위해성 자료가 현재 없다"며 "해당 제품의 흡입 독성실험을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