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돌출입, 건강 문제도 유발… 호흡기·구강 질환 위험 높여

강경훈 헬스조선 기자

입호흡 하게 돼 유해물질 유입, 입안 쉽게 말라 충치·염증 생겨
치아만 기울어 났다면 교정 가능, 영구치 나는 10~14세 치료 적기

주부 장모(36·대구 수성구)씨는 자신을 빼닮은 열두살 딸을 볼 때마다 걱정이 앞섰다. 돌출입 때문에 학창시절 내내 들었던 별명인 '침팬지'를 딸도 들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6개월에 한 번씩 딸의 치아 상태를 살핀 의사는 영구치는 모두 났으니 이제 영구치가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교정치료를 시작하자"며 "다행히 상태가 심하지 않기 때문에 치아에 부착하는 교정장치를 달고 있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신 장씨의 딸은 학교에서 집에 오면 헤드기어를 착용해 다음 날 등교할 때까지 차고 있다. 이 장치는 위턱이 계속 자라는 것을 막아 위아래 턱의 균형을 맞춰주는 기구로, 집에서만 하고 있기 때문에 친구들이나 주변 엄마들은 치료를 받고 있는 것을 모르고 있다.




이미지

돌출입은 단순히 심미적 문제뿐 아니라 호흡기나 구강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경희문 대한치과교정학회장(경북대치과병원 치과교정과 교수)이 돌출입을 가진 초등학생의 치아 상태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돌출입, 외모 콤플렉스뿐 아니라 각종 질환 위험 커져

코끝에서 턱끝까지 일직선을 그었을 때 선보다 입이 앞으로 튀어나온 것을 돌출입이라고 한다. 돌출입을 비롯해 치열이 고르지 못하거나, 아래턱이 안쪽으로 들어간 무턱이거나, 치아의 좌우가 비대칭인 경우 등 부정교합이 있으면 심리적으로 위축된다. 대한치과교정학회 손명호 공보이사(압구정아너스치과 원장)는 "부정교합이면 다른 사람의 눈에 쉽게 띌 수 밖에 없다"며 "특히 외모에 민감한 시기인 어린이나 사춘기 학생들은 자존감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단순히 심리적인 문제로 끝나는 게 아니다. 대한치과교정학회 경희문 회장(경북대치과병원 치과교정과 교수)은 "부정교합이면 위아랫니끼리 잘 맞물리지 못해 씹는 기능이나 발음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특히 돌출입이면 이가 안 다물어져 무의식적으로 코가 아닌 입으로 숨을 쉬게 돼 구강이나 호흡기 질환의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다. 코로 숨을 쉬면 공기가 코 점막, 코털 등에서 1차로 먼지나 세균이 걸러진 후 폐에 들어가지만 입으로 숨을 쉬면 이런 유해물질이 바로 폐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계속 입이 벌어져 있으면 입이 쉽게 건조해져 잇몸 질환이나 충치 같은 병의 위험도 커진다.

◇치아만 문제면 교정, 턱 문제면 수술


돌출입은 인류가 날음식 대신 열에 익혀서 연해진 음식을 먹게 되면서 생긴 것으로 추측한다. 턱과 입을 적게 움직여도 소화를 충분히 시킬 수 있게 돼 점점 턱의 크기는 줄었는데, 치아 개수는 그대로이다 보니 자연스레 입이 튀어나오게 됐다는 것이다. 돌출입을 치료할 때에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한치과교정학회 안석준 총무이사(서울대치과병원 치과교정과 교수)는 "치아의 문제인지 턱 골격의 문제인지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며 "턱 골격은 정상인데 치아만 기울어 난 경우라면 치아만 이동시켜 교정할 수 있지만 턱 관절의 문제라면 턱이나 잇몸뼈를 깎는 수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영구치 나면 6개월에 한 번 정기적 검진

교정치료는 영구치가 모두 나는 10~14세가 적기다. 경희문 회장은 "이 때 교정을 하면 치아나 골격이 쉽게, 잘 움직이기 때문에 교정이 빨리 끝난다"며 "골격의 문제로 수술을 해야 할 경우에도 미리 교정을 하면 효과가 더 좋다"고 말했다. 이 때 교정치료를 하면 2년 정도면 끝난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 교정치료를 하면 뼈성분이 잘 만들어지지 않아 더 오래 걸린다. 교정치료의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경 회장은 "돌출입이라면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는 6세 무렵부터 6개월에 한 번씩 지속적으로 검사를 받으면 뼈가 어떻게 자라는지 알 수 있어 정확한 치료법을 정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