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윗눈꺼풀을 움직이는 근육이 약해져 아래로 쳐지는 안검하수증의 환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사진=조선일보 DB

눈꺼풀이 아래로 처지는 안검하수증 환자가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2010~2014년)간 안검하수 관련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안검하수 진료인원이 2010년 약 1만 8000명에서 2014년 약 2만3000명으로 연평균 6.2%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 3명 중 2명이 50대 이상으로 70대 이상이 27.8%, 60대가 21.5%, 50대가 16.8%였다.

안검하수증은 연령별로 성별 진료인원에 차이가 있다. 30세 미만에서는 남성 환자가 많고, 30세 이상에서는 여성 환자가 많다. 후천적 안검하수에 해당하는 퇴행성 안검하수는 50세 이상 여성 환자가 많다. 중년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안구건조증 발생이 많아 눈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노화로 인해 눈꺼풀이 쳐져 병원을 많이 찾는 경향이 있다.

안검하수증은 윗눈꺼풀을 움직이는 근육인 윗눈꺼풀 올림근의 근력이 약해져 아래로 처지는 증상이다. 선천적 안검하수는 태어날 때부터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이 약해서 발생한다. 후천적 안검하수는 노화나 마비, 외상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안검하수가 양쪽 눈 모두에 있는 환자들은 정면에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 이마를 들어 올리고 턱을 쳐드는 증상을 보인다. 윗눈꺼풀의 근력이 떨어져 다른 근육을 사용해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다.

안검하수증은 통증 등의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약시, 난시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안검하수증은 대부분 수술로 증상이 호전된다. 특히 노화 등 후천적인 이유로 안검하수가 발생한 경우 원인질환 치료에 따라 눈꺼풀 처짐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보존적 치료 및 수술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하경 전문심사위원은 “선천적으로 나타나는 안검하수증은 아이 시력발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빠른 교정수술을 통해 약시나 난시를 막아야하며, 퇴행성 안검하수증은 시야장애와 함께 눈꼬리가 짓무르거나 이물감등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증상이 심하면 수술로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