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키 작은 우리 아이 무조건 성장 호르몬 주사 맞아야?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 박재민 헬스조선 인턴기자

저신장증·성조숙증의 모든것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 사이에서 '키도 경쟁력이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 만큼 자녀들의 키 성장은 부모의 관심사이자 고민거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0년 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소아 성장 질환인 성조숙증 환자 수는 2010년 2만8,251명에서 2014년 7만2,246명으로 2.5배 가까이 늘었으며, 매 해 꾸준히 증가했다. 저신장증과 성조숙증에 대해 알아본다.

 




이미지

2차 성징이 일찍 나타나는 성조숙증은 호르몬 이상이 나타나면 각종 서인병에 노출될 수 있어 조기 발견 및 치료가 더욱 중요하다./사진=헬스조선 DB

◇ 저신장에 무조건 성장 호르몬 주사는 필요 없어

저신장증은 보통 성별과 나이가 같은 아이 100명을 키가 작은 아이부터 순서대로 세웠을 때 앞에서 세 번째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성장 장애의 일차적인 원인은 골연골 이형성증이나 염색체 또는 유전자 이상 질환, 자궁 내 성장지연이 있다. 이차적인 원인으로는 영양 불량, 위장관 흡수장애, 신장 질환, 심장질환 등 만성 질환이나 성장호르몬 분비 결핍 등의 내분비 이상 질환이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중 성장호르몬 치료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성장호르몬 결핍증이나 신장 기능 이상에 의한 저신장, 자궁 내 성장지연이나 염색체 질환, 일부 유전자 질환에 의한 저신장인 경우다. 즉 키가 작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병적 질환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저신장증이 의심된다면 전문의의 진찰과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강주형 교수는 "성장호르몬 치료의 효과는 조기 치료가 중요하므로 저신장이 의심되면 가능한 빠른 시기에 전문의와 상담을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며 "성장호르몬 분비는 꾸준히 운동을 하거나 숙면을 취했을 때, 영양을 골고루 섭취했을 때 크게 증가하므로 건강한 생활습관과 균형잡힌 식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2차 성징이 일찍 나타나는 성조숙증, 조기 발견과 치료 중요

성조숙증은 여아의 경우 만 8세 이전에 가슴이 커지거나, 남아의 경우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는 등 사춘기의 시작을 알리는 2차 성징이 나타는 증상을 의미한다. 성조숙증은 영양 상태나 비만, 환경호르몬, 유전,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 체질적으로 부모의 성장이 빠른 경우나 뇌의 장애로 성호르몬 생산을 자극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 증가가 조기에 일어나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성조숙증 여부는 골 성숙 정도와 호르몬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골 성숙 정도는 손 X-ray를 촬영해 골연령을 평가하는데, 실제 연령에 비해 많이 진행되었거나 진행 속도가 빠르면 성조숙증을 의심해야 한다. 또 성호르몬 검사를 통해 호르몬 상태를 평가해야 하며 검사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경우 MRI 검사와 복부 초음파 촬영 등을 더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특발성 성조숙증은 모든 아이들이 치료대상은 아니지만, 만약 또래보다 신체가 빨리 발달하는 것 때문에 부끄러움을 많이 타거나 수영장 또는 대중목욕탕에서 옷을 잘 벗으려고 하지 않는 등의 심리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다. 성조숙증으로 인해 호르몬 이상이 나타나면 각종 성인병에 노출될 수 있어 조기 발견 및 치료가 더욱 중요하다.

성조숙증의 치료는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을 억제하는 호르몬 주사를 28일 간격으로 투여해 성호르몬 분비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치료에 따라 성장 속도가 감소하며, 여아는 가슴이 작아지거나 남아는 고환의 크기가 감소, 음경 발기, 공격적인 행동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