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모넬화학감각연구소의 브루스 킴볼 박사 연구팀은 치매로 인해 뇌에서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 소변에서 특이한 냄새가 발생한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통해 치매 모델 쥐와 보통 쥐의 소변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소변 냄새만으로도 치매 모델 쥐를 84% 이상의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치매 모델 쥐는 베타 아밀로이드를 만드는 인간의 유전자를 쥐에 주입해 치매 환자의 뇌 세포에 나타나는 독성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형성되도록 유전조작한 쥐를 말한다.

소변의 특이한 냄새는 소변에 새로운 화학물질로 인해서 생긴 것이 아니고 소변 속에 있는 물질들의 농도가 달라졌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킴볼 박사는 "소변의 특이한 냄새는 뇌 병변에 의한 것이 아닌 특정 유전자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진행한 킴볼 박사는 "치매 모델 쥐를 대상으로 한 소변 냄새 분석이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면 치매 증상을 일찍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확실히 포착할 수만 있어도 의사와 가족이 미리 대비하고 대책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최신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