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메르스 바이러스가 국내 유행 중 변이를 일으킨 것을 방영 당국이 공식 확인했다./사진=조선일보 DB
지난해 한국을 휩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가 국내 유행 중 변이를 일으킨 것을 방역 당국이 공식 확인했다.

질병관리본부는 8일 "지난해 메르스 진단을 받았던 환자 8명에게서 채취한 가래 등의 검체를 이용해 메르스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당단백질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변이가 관찰됐다"고 말했다. 바이러스는 보통 단백질과 유전자로 구성돼 있는데, 이중 바이러스 표면을 이루는 스파이크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은 사람의 세포 속으로 들어가 결합함으로써 바이러스를 증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메르스 바이러스 변이 연구에는 1번, 2번, 9번, 10번, 12번, 13번, 15번 환자의 검체가 사용됐다. 이들이 감염된 메르스 바이러스를 중동에서 유행한 메르스 바이러스와 비교해봤더니, 전체 당단백질의 8개 부분에서 염기 변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개에서는 아미노산 변이가 관찰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유전자 변이는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것으로, 지난해 국내에 메르스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동안 유전적 변이가 많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변이가 없다"는 방역 당국의 종전까지의 공식입장을 뒤집는 것이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는 "이런 변이가 결과적으로 메르스의 감염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질병통제센터(CDC)가 발행하는 저명 국제학술지(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