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뉴스] 추위 유독 많이 타는 사람, 왜?
갑상선 기능 떨어져도 추위 잘 타… 열 나면서 춥다면 감염질환 의심
기온이 낮으면 누구나 춥다고 느낀다. 사람마다 추위를 느끼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똑 같은 기온인데, 유난히 다른 사람보다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이 있다. 특별히 추위를 많이 타는 게 단지 개인적인 느낌일까, 아니면 몸에 무슨 이상이 있어서 그런 것일까.
◇추위를 느끼는 과정
기온에 변화가 생기면 피부에 있는 감각신경이 외부 온도를 감지하고 척추를 통해 뇌로 전달한다. 기온이 낮아지면 뇌의 시상하부는 '춥다'고 인지한다. 또, 추운 곳에 오래 있어서 몸속 혈액이 차가워지면 이 혈액의 온도를 시상하부가 확인한 뒤 '춥다'고 인지하기도 한다. 누구나 이 과정을 통해 추위를 느낀다. 그런데 다른 사람보다 더 춥다고 느낄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다.

주로 근육·지방이 부족한 마른 사람이거나,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과로·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몸의 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이 열 보존 능력이 떨어진다. 이때는 열이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옷을 여러 겹 껴입거나, 열이 가장 잘 방출되는 부위인 목을 따뜻하게 유지하면 추위를 덜 타게 된다.
▷혈액순환 안 되면 옷 껴입어도 소용 없어=따뜻한 혈액이 몸 곳곳을 돌면서 체온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 기능이 제대로 안 이뤄지면 추위를 잘 탄다. 노인이 양말이나 옷을 여러 겹 껴입어도 춥다고 하는 것은 혈액순환이 잘 안 돼서 열이 몸 구석구석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손발이 차가운 증상이 동반된다.
이때는 옷을 껴입는 것보다 많이 움직이는 게 추위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잠깐이라도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맨손체조 등을 하면 좋다.
▷감염질환 걸리면 실내에서도 추위 느껴=몸속에 병원균이 침투하면, 이를 무찌르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다. 면역기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다. 이 경우, 정상 체온보다 더 높게 체온이 올라가기 때문에 외부 기온과의 차이가 커지므로 추위를 잘 느끼게 된다. 몸이 뜨거우면서, 아무리 껴입어도 추위가 가시지 않는다면 감염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