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간헐적인 허리 통증이 있었던 최 모씨(62)는 여름 휴가 이후, 허리 통증뿐만 아니라 하지 방사통이 생겨 잠시라도 앉아있기가 힘들어졌다. 수차례 주사 및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재발해 다시 병원을 찾았다. 검진 결과 파열된 허리디스크의 수핵이 신경관으로 흘러 신경을 자극하는 심한 허리디스크라고 진단됐다.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라고 알려진 추간판탈출증은 척추 추간판이 노화됨에 따라 파열 및 돌출되어 허리 통증을 포함한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또한 잘못된 자세나 허리에 무리를 주는 생활태도가 원인이 되어 허리디스크가 발병하기도 하는데,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근을 자극하면 다리에 감각 이상을 초래하여 하지 마비 증상이 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지
허리디스크는 천장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직각으로 들어올리는 하지 직거상 검사 시, 전기가 통하듯 저린 통증이 발생한다면 의심해 볼 수 있다./사진=바른본병원 제공

바른본병원 척추치료센터 정재훈 원장은 “허리디스크의 증상이 의심됨에도 불구하고 추간판의 노화현상으로만 생각하고 방치할 경우 드물게는 대소변 장애 및 심각한 하지 마비로 악화되어 응급 수술을 요할 수 있다”며, “허리 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되거나 근력 약화로 자발 보행이 어려운 경우, 척추관협착증 증세를 동반한 경우라면 더욱 지체 없이 의료진을 찾아 빠른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허리디스크는 엑스레이 같은 방사선 검사뿐만 아니라 간단한 방법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천장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직각으로 들어올리는 하지 직거상 검사 시, 전기가 통하듯 저린 통증이 발생한다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척추 내에 위치한 중추신경의 일부인 척수 반사 작용으로 무릎반사 혹은 아킬레스 건 반사가 없을 경우에도 척추 이상 증상으로 의심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로 진단을 받은 경우,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지만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고 극심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이 때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디스크절제술(MLD)’이다.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MLD)이란 피부를 2cm 이내로 최소 절개하여 특수 현미경을 통해 파열된 디스크를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현미경으로 미세한 혈관까지 식별이 가능해 신경 및 혈관의 손상 없이 병든 디스크만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며 수술 후 흉터가 작고 통증이 적어 회복이 빠르기 때문에 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정재훈 원장은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MLD)은 난치성 디스크 환자뿐만 아니라 척추관협착증을 동반한 복합적인 디스크 환자에도 적합한 치료로 추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리디스크 치료 후 통증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무거운 짐을 들 때 무릎을 굽혀 몸 가까이 물건을 먼저 잡고 허리를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무릎을 펴서 일어나는 등 추간판이 탈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세를 숙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치료 후 보조기 착용기간 동안 척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하고 평지를 걷거나 평소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척추 건강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