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돌출입, 고령이라도 치아교정으로 해결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일반적으로 치아교정은 성장기나 젊은층만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장년층도 치아교정을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중장년층은 젊은층에 비해 기간이 오래 걸리고 치료 결과도 좋지 않아 선뜻 치아 교정을 결정하기가 쉽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교정 전 치료가능여부를 충분히 진단하고 주의사항만 잘 지키면 큰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중장년층이 치아교정을 하고자 한다면 먼저 X-ray와 CT를 통해 잇몸뼈의 양과 전반적인 치주상태, 보철치료 유무 등 치아건강상태를 체크해야 한다. 잇몸뼈와 치주인대 등 치주조직이 충분히 있을수록 치아가 잘 이동하는데 고령일수록 치주소실이나 잇몸질환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치주질환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 치아이동을 위해 가하는 힘이 치주조직의 파괴를 더 야기할 수 있다. 이때는 교정 전 충분한 기간 동안 스켈링과 소파술 같은 치주치료를 받은 후 염증을 조절해야 한다. 이후라도 교정치료 중에는 잇몸체크와 적절한 치주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치아교정 중 우식증이 발생하거나 치수병변이 악화될 수 있어 신경치료 등이 필요하다. 신경치료를 한 치아도 교정력을 이용한 치아이동에 지장이 없어 교정이 가능하다.

전신건강이 좋지 않거나 골다공증 약을 장기간 복용하는 등 골대사능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 과도하게 잇몸병이 진행된 경우는 치아교정이 어렵다. 특히 잇몸뼈가 과도하게 내려와 있을 때는 치아교정이 불가능하다. 치아 사이를 갈아서 치아를 집어넣거나 배열을 하는 제한적 치료는 가능하다.

중장년층은 기존의 일반 교정장치를 사용할 경우 치아의 각도만 줄이는 방식으로 치료해 옥니형태의 새로운 부정교합을 만들기 쉬웠다. 또 치아의 아랫부분을 당기고 그 후 다시 윗부분을 당기는 치아이동 방식으로 그 과정에서 치아뿌리의 움직임이 많아지게 되고 뿌리가 짧아지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킬본(KILBON)’ 교정치료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치료법은 치아를 당기는 힘의 포인트를 치근(치아뿌리)에 두기 때문에 치아와 치근, 윗턱뼈까지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치아뿌리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치아뿌리가 짧아질 위험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킬본 교정치료법을 개발한 센트럴치과 권순용 원장은 "예전에는 교정전문의들 조차도 노년층의 치아교정은 불가능한 영역이라고 했지만 최근에는 <노인교정학>이라는 책이 나올 정도로 노인들의 교정치료에 긍정적이다"며 "노년층은 미적인 것 뿐만 아니라 잇솔질을 더 잘할 수 있거나 틀니를 더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등 치아교정치료에 대한 확실한 욕구와 치료의지를 보여줘 치료예후도 좋은 편이다"고 밝혔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