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이 인상되면 흡연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2003년~2013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19세 이상 성인 남성의 흡연 여부를 분석한 결과, 담뱃값 인상이 흡연율 저하에 실제 큰 영향을 미쳤다. 성인남성 흡연율은 담뱃값이 인상된 2005년과 인상 이듬해인 2006년에 가장 큰 폭으로 흡연율이 하락했는데, 2005∼2006년 기간 담뱃값 인상 이외에 특별한 비가격정책이나 건강관련 이슈가 없었던 것을 감안할 때 담뱃값 인상이 흡연율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성인 남성 흡연율은 2003년 49.4% → 2005년 43.9% → 2006년 42.3% → 2013년 42.5%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미지
담뱃값이 오르면 흡연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헬스조선 DB

복지부는 전 국민 국가건강검진 결과 등 다양한 통계조사 결과에 비추어 이번 담뱃값 인상으로 2016년까지 성인남성 흡연율이 35% 수준까지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담뱃갑 경고그림 부착 등 비가격정책과 담뱃값에 대한 물가연동제 등을 병행 추진하여 2020년까지 성인남성흡연율을 OECD 평균 수준인 29%까지 낮추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최근 여야 합의에 따라 담뱃값이 2000원 인상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