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조선일보 DB

생리 주기, 생리량 등은 여성들에게 굉장히 민감한 사안이다. 생리가 여성의 건강상태를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고등학생의 경우 생리가 불규칙해도 '아직 생리 주기가 자리 잡지 않아서 그렇다', '어른이 되면 다 괜찮아진다'고 생각하며 대수롭게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청소년기의 불규칙한 생리 주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초등학교 5~6학년 정도면 대부분의 여자아이들은 첫 월경, '초경'을 시작한다.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이사라 교수는 "보통 초경 이후 2~3년 이내에 생리주기가 완성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생리를 처음 시작한 지 3년이 지나서 나타나는 생리불순은 정상적인 현상이 아니다. 정상적인 생리주기는 21~35일이다. 그런데 초경 2~3년 후에도 생리주기가 21일 이하인 경우, 35일 이상인 경우, 생리량이 너무 적거나 많은 경우라면 호르몬이나 생식기 기관의 문제일 수 있다. 보통 생리주기가 너무 짧다면 혈액응고작용에 문제가 생긴 경우가 많고, 생리주기가 길다면 만성무배란, 난소가 빨리 노화하는 조기난소부전 등을 의심할 수 있다.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생리량에 문제가 있는데도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여러 다른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생리 주기가 너무 길다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뼈가 약해진다. 이 때문에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도 함께 커지게 된다. 또, 생리가 생성되지만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다면 자궁 내막에 염증이나 혹이 생길 수도 있다.

불규칙한 생리주기의 원인은 자궁 및 부속기관의 선천적 문제, 스트레스, 정서적 불안정, 신체 장기의 이상 등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생리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고 해서 모두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중·고등학생의 경우 학업 등으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이나 스트레스 등이 생리 불규칙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가 불규칙하다면 6개월 정도 생리 주기를 기록하고, 그 결과 주기적으로 생리가 불규칙하다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이사라 교수는 "생리 불규칙은 원인이 매우 다양하므로 병원을 찾아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