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편집증이라 불렸던 망상장애는 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신질환이다. 망상장애 환자들은 일상생활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의심과 적개심이 보통 사람보다 많아 성격이 이상해 보일 수 있다. 특히 연인의 과거를 의심하고 끊임없이 궁금해하며 집착하는 심리가 망상장애의 대표적인 예다. 망상장애 환자는 연인의 과거를 단순히 궁금해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상대방의 사생활을 비도덕적인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캐내려고 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미지
사진=조선일보 DB

미국 정신의학회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의 자료에 따르면 망상장애 유형은 크게 7가지로 구분된다. ▶높은 지위에 있는 다른 사람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고 믿는 '색정형' ▶신격화된 인물이나 유명인과 특별한 관계에 있다고 생각하는 '과대형' ▶연인이 부정하다고 믿는 '질투형' ▶누군가가 악의적으로 행동한다고 생각하는 '피해형' ▶신체적 결함이 있다고 생각하는 '신체형' ▶위의 유형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특징을 보이는 경우 '혼재형' ▶'불특정형'이다.

망상장애는 1세 이전에 부모에게 애정을 받지 못한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 1세 이전의 아이는 칭얼대면서 부모로부터 사랑을 구하는데, 이때 부모가 잘 보살펴주지 않으면 아이는 자라면서 타인을 의심하게 되는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다. 망상장애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 성립이 치료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 그런데 환자들은 치료에 저항하거나 치료자를 망상 안에 끌어들이기도 해 관계가 잘 성립되지 않는다. 이 환자들에게는 약물 치료와 함께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둔 정신치료적 접근을 시행해야 한다.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거나 증상이 심하면 입원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