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13일 '세계 천식의 날(5월 첫째 주 화요일)을 맞이하여 제8회「아토피·천식 예방 관리 심포지엄」을 열었다. 심포지엄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관계자와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국가 알레르기 질환 예방 정책 및 천식에 대한 예방관리법을 소개했다.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은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생활환경의 변화와 대기오염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천식 유병률은 2.7%였으며, 한국인의 만성질환 질병 부담 순위 5위로 나타났다. 천식은 소아·청소년에게서 더 잘 발생한다. 지난해 실시한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는 청소년(13-18세) 천식 의사진단률은 9.4%였다. 2005년 한국인의 질병 부담 보고서에는 청소년의 질병 부담 순위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사진=조선일보 DB

질병 부담이 큰 질환인만큼 질병관리본부에서는 4개 시·도와 협력하여「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를 개소하고,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의 정보를 온라인과 전화로 전문 상담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8년 5개 전문 학·협회와 협력해「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수칙」을 제정해 발표한 바 있다. 예방관리 수칙은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홈페이지(http://atopy.cdc.go.kr/atopy/index.do)로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Tip) 전국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연락처
◈서울특별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서울시 중랑구 신내로 서울의료원)
: 02-2276-8191, 평일(월~금) 08:30~17:30, 홈페이지 www.atopyinfocenter.co.kr
◈부산광역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국제빌딩)
: 1899-4640, 평일(월~금) 09:00~18:00 www.allergyinfo.or.kr
◈경기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서울대병원)
: 1577-9642, 평일(월~금) 09:00~18:00, 홈페이지 www.e-allergy.org
◈경상북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경상북도 경주시 동대로 동국대경주병원)
: 1899-7585, 평일(월~금) 09:00~18:00 홈페이지 www.eduinfo-allerg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