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보한의원 네트워크가 ‘백반증 바로 알기 캠페인’의 2탄으로, 미백화장품 사용 후 백반증이 생긴 환자들을 구제하는 ‘되살리기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한의원에 따르면, 오는 30일까지 미백화장품 사용 후 백반증이 생긴 부작용 피해자들의 사연을 해당부위의 사진과 함께 인터넷 카페를 통해 접수를 받은 후 심사를 거쳐 향후 개별 통보한다는 방침이다.
미백화장품은 멜라닌 색소를 분해해서 피부를 하얗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합성을 억제하거나 경로를 차단해 멜라닌이 만들어지지 않게 하는 원리다. 멜라닌은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피부의 천연보호막 기능을 하는데, 미백화장품을 과용하면 멜라닌 생성이 부족해지거나 멜라닌생성 세포들까지 파괴돼 피부가 하얀 반점으로 얼룩덜룩해 보이는 백반증이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지난해 여름 일본의 유명화장품회사의 미백화장품 사용자들 중의 일부가 목과 얼굴 등에 백반증이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한 것이 보도된 적이 있다. 당시 해당 제품에 대한 리콜조치는 취해졌지만 무려 1만 5천명에 가까운 백반증 피해자들이 발생했으며, 해가 바뀌었는데도 아직까지 피해자들과 보상금협의에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백반증 부작용 피해에 대한 해결이 어려운 배경에는 백반증의 치료효과에 대한 의학적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현대의학에서도 백반증에 대한 발생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주로 엑시머레이저 혹은 자외선광선으로 치료하지만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우보한의원은 자체개발한 ‘우백환’을 통해 백반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우백환은 지난해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우백환 추출물질이 멜라닌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관련 논문은 대한본초학회지에 게재된 바 있다.
김세윤 우보한의원 원장은 “미백화장품의 부작용으로 백반증이 발생한 국내 피해자들이 제대로 된 보상금도 받지 못하고 갈수록 하얀 반점이 번져가는 증세에 고충이 크다는 뉴스기사를 접하면서 한의사로서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한의학은 신체의 자연치유력을 극대화시키는 기본적인 효과가 커서 백반증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