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봄나들이용 플랫슈즈에는 꼭 '깔창'끼세요

김은총 헬스조선 인턴기자

기온이 상승하고 본격적인 나들이 철을 맞아 신발장에서 플랫슈즈를 꺼내는 여성들이 많다. 플랫슈즈는 굽이 없고 바닥이 얇은 신발이다. 가볍고 신고 벗기가 편해 발건강에도 좋을 것 같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플랫슈즈는 잘못 신으면 발건강을 위협한다.




이미지

헬스조선 DB

◆충격이 발바닥·무릎·척추까지 전달
플렛슈즈는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딱 붙는 신발이다. 이 때문에 걷거나 뛸 때 발뒤꿈치가 가장 먼저 땅에 닿으며 충격을 그대로 발바닥에 전달한다. 이렇게 발바닥 근육에 계속 무리가 가면 염증이 생기면서 족저근막염이 생길 수 있다.

플랫슈즈는 발바닥 뿐 아니라 무릎과 척추관절에도 영향을 준다. 전문가는 "굽과 깔창이 없어서 걸으면 체중의 3배, 뛰면 체중의 10배가 되는 충격이 무릎과 허리에 직접 전달된다"고 말한다.

◆하이힐 신다 플랫슈즈 신으면 아킬레스건 염증
평소 하이힐을 오래 신었던 사람이 플랫슈즈를 신으면 아킬레스건염이 생길 수 있다. 하이힐을 오래 신으면 장딴지와 발바닥의 근육을 잇는 아킬레스건이 짧아진다. 그 상태에서 굽이 낮은 신발을 신으면 짧아진 아킬레스건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염증이 생기기 때문이다.

◆바닥에 운동화 깔창깔고 운동은 금물
플랫슈즈로 인한 발질환을 예방하려면 푹신푹신한 운동화 깔창을 신발 바닥에 대는 것이 좋다. 플랫슈즈를 신고 장시간 걷는다거나 뛰는 운동은 절대 금물이다.

틈틈이 다리의 피로를 풀어주는 운동을 하는 것도 좋다. 발을 심장보다 높게 들어 올렸다가 떨어뜨리는 모관운동과 바닥에 다리를 쭉 펴고 앉아 발가락을 최대한 앞뒤로 폈다 구부리는 운동이 도움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