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스탕달 증후군’에 대해 아시나요?

이원진 헬스조선 인턴기자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 ‘스탕달 증후군’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돼 누리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스탕달 증후군은 프랑스의 작가 스탕달(Stendhal)의 이름에서 나왔다. 스탕달이 1817년 이탈리아 피렌체 산타크로체성당에 있는 레니(Guido Reni)의 '베아트리체 첸치'를 감상하고 나오던 중 무릎에 힘이 빠지면서 황홀한 경험을 받은 것을 글로 남긴 것에서 유래했다.




이미지

사진=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방송화면 캡처

스탕달 증후군은 역사적으로 유명하거나 뛰어난 예술품을 감상한 뒤 순간적으로 가슴이 뛰거나 흥분, 우울증, 현기증, 위경련 등 각종 분열 증세를 일으키는 것을 뜻한다. 훌륭한 조각상을 보고 모방충동을 일으켜 그 조각상과 같은 자세를 취하거나 그림 앞에서 희로애락을 느끼는 등 특이한 행동도 일어난다. 의기소침, 피해망상, 자아상실, 정서혼란 등의 증상도 일어난다.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은 미술작품 말고도 문학작품이나 유명한 사람의 전기를 읽어도 이러한 증세를 일으키기도 한다. 하지만 증상이 장기간 지속하지 않고 안정제를 복용하거나 익숙한 환경으로 돌아오면 금방 회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011년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가 스탕달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한 바가 있다. 당시 영국 박물관에 자주 출몰하는 '미라에 홀린 사람들' 이야기가 소개돼 시청자들의 놀라움을 자아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