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3040세대가 치아교정? 18개월만에 끝낼수도
취재 한미영 기자 | 도움말 및 자료제공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치과교정학회
입력 2013/10/02 09:00
Q 못생긴 치아 때문에 걱정입니다. 웃을 때 으레 손으로 입을 가리는데, 치아교정으로 고칠 수 있을까요?
최근에는 사회생활을 하는 성인이 심미적 효과를 위한 교정 치료도 많이 한다. 삐뚤빼뚤한 치열을 고르게 교정하면서 돌출된 입이 들어가거나 턱선에 변화가 생겨 성형 효과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웃을 때 드러나는 가지런한 치아는 밝고 환한 인상을 완성한다. 심미적 이유를 포함해 다음 중 한 가지라도 해당하면 교정 전문의와 상담하자.
□ 앞니로 음식 자르기가 어렵다.
□ 덧니가 심해 놀림당한다.
□ 양치질을 해도 잘 닦이지 않는 부분이 있다.
□ 얼굴이 비뚤어져 보인다.
□ 아랫니가 윗니보다 앞에 나와 있다.
□ 입이 많이 튀어나왔다.
□ 웃을 때 잇몸이 많이 드러난다.
□ 윗니만 톡 튀어나왔다.
□ 턱이 없어 보인다.
□ 치아 사이가 벌어졌다.
□ 치아가 삐뚤빼뚤하거나 겹쳐서 났다.
□ 유치가 제때 빠지지 않았다.
□ 아래윗니의 정중선이 일치하지 않는다.
□ 아래위 앞니는 닿는데 어금니는 물리지 않는다. 혹은 그 반대다.
□ 주걱턱, 뻐드렁니, 입술 돌출 등 얼굴 모양이 이상하다.
□ 아래 앞니가 위 앞니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턱 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있다.
Q 치아교정은 어릴 때 하는 게 좋다는데, 30대인 지금 너무 늦었나요?
성장기에 치아교정을 많이 하는 건 사실이지만 교정 치료에 늦은 나이는 없다. 교정하기로 마음먹은 순간이 가장 적절한 시기다. 현재 교정 환자의 25%가 성인이다. 나이와 교정 치료 성공 여부와 큰 관련이 없다.
Q 성장이 멈춘 후 시작하는 치아교정은 교정 기간이 더 오래 걸리나요?
교정 치료는 세포 반응을 이용한다. 성인은 세포대사가 왕성한 성장기보다 치아를 천천히 움직여야 한다. 어린 나이에 하는 것보다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단, 치료 약속을 잘 지키고 청결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평균 18~30개월인 치료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 골격 변화를 유도하기 어려워 턱뼈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넓이를 늘리는 골격 변화 치료는 교정만으로 힘들다.
Q 치아 교정 후 치열이 다시 비뚤어져 재교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나요?
교정 치료가 끝나면 다시 비뚤어지는 걸 막기 위해 일정 기간 유지장치를 장착한다. 치아와 주위 조직을 건강한 상태가 되기 전에 유지장치를 빼버리면 심한 경우 별도의 교정을 받아야 한다. 교정 치료가 끝나더라도 변화는 있을 수 있다. 사람 얼굴은 45세까지 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턱 위치나 입술도 변한다. 이는 치아 위치에 영향을 주는 부위다. 교정 치료를 해도 치아의 위치는 조금씩 변한다. 치아 위치가 주위의 환경에 적응하려고 계속 변하기 때문이다. 성장기 청소년이 과도하게 성장하면 재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하게 변하지만 성인은 변화 정도가 미미하다. 교정 치료 후 일정 기간 유지 장치를 착용해 치아와 주위 조직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한 상태라면 자연스러운 생체 적응 과정으로 생각하자.
Q 다양한 교정 치료법 중 성인에게 더 적합한 교정법은 무엇인가요?
교정 치료는 치아에 교정 장치를 붙이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씹는 기능을 잘할 수 있게 하는 치료다. 하지만 사람 만나며 사회생활하는 성인이 치아 위에 기찻길을 깔기에는 부끄럽다. 예쁘고 가지런한 치아를 가지려고 시작한 교정인데 짧지 않은 교정 동안 못난 모습을 보이는 건 더욱 싫어한다. 그래서 성인은 눈에 덜 띄는 교정장치를 쓴다.
Q 눈에 덜 띄는 교정장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눈에 덜 띄는 교정장치로는 우선 세라믹 교정장치가 있다. 심미적 교정장치라고 하는데, 치아에 부착하는 교정장치의 금속 부분을 세라믹이나 레진으로 대체한다. 철사까지 흰색으로 코팅하기도 한다. 금속 교정장치보다 눈에 덜 띄지만 교정력은 뒤지지 않는다.
많이 알려진 것으로 설측 교정장치도 있다. 교정장치를 치아 안쪽에 붙이는 방법이다. 교정장치가 눈에 띄지 않아 교정 사실을 감쪽같이 숨길 수 있다. 단, 초기엔 적응하기가 어렵다. 혀에 닿는 이물감이 심하고 음식을 씹거나 발음하기 불편하기 때문이다. 비용이 비싸고 치료기간도 다소 길다.
마우스피스처럼 끼우는 투명 교정장치도 요즘 많이 한다.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교정장치다. 가까이서 보지 않으면 알아차리기 어렵다. 정기적으로 치아의 본을 뜨고 이동량을 계산해 고정한다. 음식을 먹을 때마다 뺐다 꼈다 하는 불편이 있지만 구강 위생관리가 쉽다. 하루 17시간 이상 착용해야 하는데 규칙적으로 착용하고 관리해야 하는데, 지키지 않으면 치료기간이 길어진다. 결국 포기하는 이들이 많으니 투명 교정장치는 충분히 고민하고 선택하자. 복잡한 치료에는 쓸 수 없다. 인비절라인, 클리너얼라이너 등이 이에 해당한다.
Q 교정 치료할 때 발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꼭 치아를 뽑아야 하나요?
덧니가 심하지 않거나 치아에 틈이 있으면 이를 뽑지 않고도 교정한다. 치아 수용 공간이 부족해 생기는 덧니 환자는 대부분 발치한다. 작은 어금니를 발치하고 발치 공간을 이용해 덧니였던 치아를 움직여 가지런하게 자리 잡도록 한다. 마지막 단계에서 교합을 긴밀하게 맞추어 위아래 치아가 맞도록 한다. 발치하면 이동시키는 치아를 강하게 당겨야 하므로 이동량에 제한이 있는 투명 교정장치로는 교정하기 어렵다.
Q 앞니 몇 개가 틀어졌는데 치아 전체를 교정하는 건 부담돼요. 요즘은 부분교정도 한다는데 어떻게 하는 건가요?
벌어지거나 엉클어진 앞니만 가지런히 하는 부분교정을 할 수 있다. ‘2D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많이 써서 ‘2D 교정’이라고도 한다. 기존 장치보다 얇고 작은 장치를 치아 안쪽에 붙여 고정한다. 설측부분교정이라 교정장치가 눈에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크기도 작아 혀의 이물감이나 발음장애가 적다. 하루 정도면 충분히 적응한다. 치료 기간은 보통 3~6개월이다. 하지만 돌출입이 심하거나 덧니가 심하면 부분교정만으로 치료하기 어렵다. 보기에는 앞니만 틀어졌는데, 어금니 맞물림이나 치아 기능에 문제가 있어도 앞니 교정 치료가 불가능하다.
Q 연예인은 라미네이트로 치아 성형을 한다는데, 라미네이트도 교정 치료법인가요?
라미네이트는 치아 표면을 깎아 내고 그 위에 얇은 세라믹 보철물을 디자인해서 붙이는 시술로, 교정치료가 아니라 보철치료다. 치아가 미세하게 벌어지거나, 미세하게 비뚤어진 경우, 변색이 심한 경우 등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어긋난 치아를 라미네이트로만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울퉁불퉁 배열된 치아 배열을 교정하지 않고 치아를 너무 많이 깎아 내면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Q 어릴 때 교정 치료를 하다가 잘 되지 않아 포기하는 사람이 있던데, 교정할 수 없는 사람도 있나요?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 이상이 심하고 얼굴 모양이 심하게 변형되면 교정 치료만으로 치료할 수 없다. 아래나 위 턱이 과도하게 성장해 교정 치료만으로 얼굴 모양 개선이 불완전할 때 수술을 병행한다. 성장 중인 아이는 교정 치료로 골격을 개선하고 수술을 피할 수 있지만, 성장이 끝난 성인은 수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