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금슬 좋은 부부의 남모를 고민 ’성교통’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13/09/17 09:00
전업주부 이 씨(38세, 여)는 남편에게 말 못할 고민이 한 가지가 있다. 바로 남편과의 성관계가 그다지 달갑지 않은 것이다. 가정에 충실한 편인 남편은 이 씨와의 스킨십은 물론 부부관계에도 매우 적극적이라 일주일에 평균 3번 이상 관계를 갖는다. 이 씨 역시 남편과의 관계를 즐겼지만 이제는 부담스럽다. 평소에는 전희를 즐기는 이 씨였지만 요즘은 질건조증이 생겨 그마저도 고통스럽다. 관계 후 아랫배가 묵직하고 뻐근함이 느껴지기도 하고, 때때로 외음부에 상처가 날 때도 있다. 하지만 남편이 실망할 것을 두려워해 성교통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하지 못하고 있다.
◑ 성교통 ‘부끄러운 것’ 아닌 ‘치료해야 할 것’
성교통은 여성이라면 한 두 번쯤은 경험할 정도로 매우 흔한 증상이다. 증상이 지속되면 성에 대한 즐거움을 주기는커녕 성이 공포의 대상이 되는 트라우마를 남기는 등 건강한 성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이유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들이 성교통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산부인과에서 냉이나 생리불순 등 다른 증상을 이야기하며 치료받기도 한다.
통증을 느끼는 부위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여성마다 차이가 있다. 질 입구에서부터 안쪽까지 통증 호소 부위가 다양한 것이다. 보통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성교통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이는 성관계를 회피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여성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 성교통, 왜 생기는 것일까?
성교통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기지만 크게 세 가지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남녀의 궁합문제, 두 번째는 질 내에 질병이 생겼을 경우, 세 번째는 자궁에 질병이 생겼을 경우이다.
남녀의 궁합문제는 성기의 길이와 체위의 문제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여성의 질의 길이와 남성의 페니스 길이가 맞지 않을 경우는 ‘딥 스러스트(Deep thrust) 성교통’이 생긴다. 우리나라 여성의 질 길이는 평균 7㎝ 정도 인데, 일반적으로 성적 각성반응이 일어나면 길어지고 넓어져 웬만한 남성 페니스는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여성의 질 길이가 지나치게 짧거나 남성의 발기 시 페니스 크기가 지나치게 크다면 성교통이 발생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 성교통에 대한 인지 없이 계속 관계를 지속한다면 염증이나 상처로 인한 2차 감염의 문제를 불러 일으킬 수도 있다.
무리한 체위를 지속하는 것 역시 성교통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적극적이고 다채로운 체위의 시도는 안마, 지압, 스트레칭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다만 불편함이 느껴질 정도로 무리한 체위라면 과격한 운동으로 인한 근육손상처럼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질 내에 질병이 있다면 질 입구에서 성교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염증과 질건조증이 원인이다. 염증은 보통 곰팡이성 질염이 흔하며 발병 시 빠른 치료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건조증은 폐경 후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 흔히 나타나지만, 젊은 여성이라면 출산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출산에 이어 모유수유나 피임약 복용 등으로 인한 여성호르몬의 변화가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 질 길이가 짧아 질건조증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솜씨좋은산부인과 윤호주 원장은 “지난 3개월간 병원을 찾은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질 길이를 6.0Cm 이상과 이하 두 그룹으로 나눴을 때, 6.0Cm 이상에서는 질 건조증 환자가 45.1%, 6.0Cm 이하에서는 질 건조증 환자가 66.7%로 나타났다”며 “이는 질 길이가 질 건조 여부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성교통 심하면 이 ‘질환’ 의심해야
남녀가 서로를 잘 배려하고 질건조증이나 염증과 같은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성교통이 지속된다면 자궁 내 질병이 발병했을 수 있으니, 정밀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자궁 내 질병으로는 우선 자궁내막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의 안쪽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자궁내막이 세균에 감염되어 난소나 난관, 자궁근육, 방광 혹은 대장, 회음부 등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만성적인 생리통과 성교통은 자궁내막증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자궁내막증은 복강경 수술 등을 통해 병변을 제거할 수 있다.
자궁하수증 역시 의심해볼 만한 질환이다. 질의 통로가 이완되어 있기 때문에 자궁이 질의 후반부 부근에 내려오는 자궁하수증(자궁탈출)은 질의 길이를 짧게 만들어 질건조증을 유발하고 바람 빠지는 소리, 하복부의 뻐근함, 요통, 자궁경부의 만성염증 등을 일으킨다.
윤호주 원장은 “자궁하수증은 질성형술 등을 시술하기도 하지만 내려앉은 자궁을 그대로 두고 질성형을 하면 오히려 입구는 좁고 안 쪽이 넓어져 성교통이 완화되지 않거나 염증이 생길 수 있다”며 “후방질원개술은 밑으로 내려온 자궁을 올려 넣고 자궁경부 앞에서 얇아진 질벽 근육을 두껍게 묶어주면서 질 축소 수술을 시작해, 질 입구까지 일정하고 촘촘하게 좁혀서 나오므로 성감 개선은 물론, 자궁건강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