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푹푹 찌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체온이 섭씨 37.2도를 넘어서는 고체온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고체온증이 생기면 열사병, 열탈진 등의 온열질환에 걸리기 쉽다. 고체온증에 취약한 사람은 누구이며, 고체온증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림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손유동 교수의 도움으로 알아본다.




이미지
사진=한림대의료원

■ 고체온증에 걸리기 쉬운 경우

◦ 심장이나 혈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더위에 의한 고체온증에 잘 걸리므로 고혈압이나 심장병과 같은 만성질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또 만성 폐질환자나 신장질환자도 위험하다.

◦ 전해질이 부족한 사람들, 특히 고혈압 때문에 소금섭취를 적게 하는 경우에 열 손상이 더 잘 생긴다.

◦ 평소에 땀이 잘 나지 않는 사람이나 피부가 건조한 사람에게 잘 생기는데, 대부분의 노인은 이런 현상이 있으므로 위험하다.

◦ 이뇨제, 안정제 등의 약을 복용하는 사람은 체온조절 기능이 약하므로 고체온증에 취약하다.

◦ 하루에 복용하는 약물이 4가지 이상 되는 사람은 열사병이 더 잘 생길 수 있다.

■ 고체온증 예방법 및 주의사항

◦ 물이나 주스, 스포츠 이온음료 같은 것으로 수분을 공급받는 것이 좋다. 최소한 큰 잔으로 하루 8잔 이상 마셔야 체온 조절이 잘 된다. 더위 자체가 땀을 많이 나게 하므로 탈수현상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수분섭취를 많이 해야 한다. 섭취한 수분은 땀이나 소변으로 빠져 나가면서 몸의 열을 식혀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수분섭취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카페인 음료나 술은 오히려 탈수현상을 더 많이 일으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섭취를 줄여야 한다.

◦ 만약 선풍기나 에어컨 없이 집안에서 지내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주의를 해야 한다.

● 창문을 열어서 자주 환기를 시키고 추울 정도가 아니라면 밤중에라도 창문을 열어 집안을 서늘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 햇빛이 들어오는 창문은 햇빛가리개를 설치하여 한낮 뜨거운 시간에는 햇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 제일 더운 시간에는 최소한 하루에 2시간 이상 냉방이 되는 시원한 곳에서 시간을 보낸다.

◦ 더운 여름철에는 항상 일기예보 확인하여 기온이 너무 높다거나 습도가 높은지, 오존지수가 높은지 등을 알아두고 대비하여야 한다.

◦ 더위를 막을 수 있는 옷차림에 유의하여야 한다. 화학섬유 옷보다는 면으로 만든 옷이 더 좋고, 검은 색 계열보다는 밝은 색 옷이 더 좋다. 외출 시 모자나 양산을 준비한다.

◦ 뜨거운 날이나 시간에는 야외 활동이나 운동을 자제한다.

◦ 뜨거운 날이나 시간에는 가급적 시원한 곳에 머무르도록 신경을 쓰고, 물을 많이 마시고, 시원한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이 좋으며, 편안한 휴식을 자주 취해야 한다.

◦ 매우 더운 날에 두통이나 어지럼증, 구역질, 정신이 흐려지는 증상이 생기면 고체온증이 생기고 있다는 증상일 수 있으므로, 주변에 알려 도움을 받거나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땡볕이 가장 강한 시간에는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야외 작업하는 동안 충분히 수분을 섭취한다. 서늘한 그늘에서 쉬는 시간을 갖고, 체온이 급격히 상승한 채 의식을 잃고 쓰러지면 생명에 위험이 있으니 즉시 응급실로 옮겨야 한다.

◦ 폭염경보에는 자칫 건강을 해칠 수 있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독거노인과 같은 의료 취약자에게 연락을 취해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 뜨거운 태양 볕이 내리쬐는 무더운 날씨에 자동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둔 채 주차하는 것을 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