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차단제 선택법

이미지
자신의 피부에 맞지 않는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면 여드름 같은 피부 트러블이 심해질 수 있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여드름으로 고생하던 여대생 유모(24·경기 부천시)씨는 석 달 전 자외선차단제를 구입하면서 자극이 적고 순하다는 천연성분 제품(물리적 차단제)을 골랐다. 여드름 악화를 걱정했기 때문인데, 천연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면서 오히려 여드름이 심해졌다. 피부과를 찾아간 유씨는 "여드름이 많은 사람은 화학성분 자외선차단제를 쓰는 게 좋다"는 말을 의사로부터 들었다.

자외선차단제는 천연성분, 화학성분, 복합성분의 세 종류가 있는데, 피부 상태에 맞지 않는 성분의 제품을 쓰면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다.

천연성분 제품은 미네랄에서 채취한 아연·티타늄이 주원료이다. 제품설명서에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카오린 등의 성분명이 써 있다. 천연성분 자외선차단제는 피부 표면에 하얀 막을 만들어 자외선을 흩트린다.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피부 자극이 적지만, 바르면 끈적끈적하고 얼굴이 하얗게 뜬다.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서동혜 원장은 "이런 자외선차단제는 피부가 민감한 사람, 영·유아, 아토피성피부염 환자에게 좋다"며 "반면, 천연성분이 모공을 막아서 피지 분출을 억제하므로 여드름이나 뾰루지가 잘 나는 사람이 쓰면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화학성분 제품은 설명서에 옥시벤존, 아보벤존, 옥틸멕토시신나메이트 등의 성분명이 써 있다. 이런 화학 성분은 피부 표피층과 진피층에 흡수된 뒤에 자외선을 빨아들여서 피부를 보호한다. 피부에 하얗게 남지 않고 투명하고 촉촉한 느낌을 주지만, 천연성분 차단제보다는 피부를 많이 자극한다. 서동혜 원장은 "화학성분 자외선차단제는 모공을 덮지 않기 때문에 여드름이나 뾰루지가 잘 나는 사람에게 좋다"며 "여드름이 잘 나는 피부라고 해서 화학성분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는 정도의 자극으로 다른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복합성분 제품은 천연·화학성분 제품의 장점을 모은 것이다. 천연·화학 차단제의 성분명이 설명서에 함께 써 있다. 피부 표면에 옅은 막을 씌우고, 피부 속에서 자외선을 흡수해 자외선을 이중으로 차단한다. 천연성분 차단제보다는 백탁현상이 덜 하고, 화학성분 차단제보다는 자극이 덜 하다. 피부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사람에게 알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