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생리 기간 전후로 아랫배가 묵직하고 찌르듯이 아픈 생리통을 경험한다. 생리통은 생리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한편으로 자궁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다. 없던 생리통이 나타났을 때 의심해볼 자궁 질병에 대해 알아보자.
Check 3 35세 이상 여성 40~50%, 자궁근종
자궁근종은 자궁근육층에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다. 자궁암과는 구별되며, 35세 이상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난다. 최근에는 20~30대 미혼 여성에게서도 자궁근종이 발견되고 있다.
생리 시 덩어리가 늘어나면 자궁근종 의심
자궁 질환이 생기면 제일 먼저 생리통이 나타나고 생리 양이 늘거나 주는 등 변화가 생긴다. 생리 시 덩어리가 많이 늘거나 생리기간이 아닌데도 부정기적으로 출혈이 발생하면 자궁근종을 의심하자. 자궁근종이 발생한 위치와 진행 방향에 따라 대소변 장애와 배에 가스가 차고 골반
통증이 나타난다. 수족냉증, 부종, 피로감, 피부 트러블, 기미 등 자궁과 상관없을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나 자궁근종을 미처 발견하기 못하고 지나칠 때가 많다. 자궁근종은 대부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니 위의 증상들이 나타나면 빨리 산부인과를 찾아 검사받자.

자궁근종, 대부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자궁근종이 의심돼 병원을 찾으면 문진 후 종양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검사를 한다. 자궁근종은 35세 이상의 여성 40~50%에서 나타날 만큼 발생률이 높지만 대부분 악성이 아니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는지, 개수가 느는지 등의 경과를 지켜보며 그때그때 적절한 치료를 한다.
신경 쓰이면 수술해서 떼내면 된다. 하지만 근종이 너무 많고 상태가 심하면 자궁적출술을 받는다. 임신을 계획한 여성이면 호르몬 치료 혹은 시험관아기시술이 대안이다. 출산이 끝난 여성은 대개 종양 크기나 증상에 따라 경과를 관찰하거나 빈혈을 치료하기 위해 철분제 진통제 등을 처방한다.
More Tip 한방에선 냉한 자궁 환경 개선에 중점
한의학에서 자궁근종 치료 핵심은 자궁이 위치한 하복부를 따뜻하게 해 골반 내 혈액순환을 돕는 것이다. 한약과 함께 온침과 뜸, 좌훈법 등을 상황에 맞게 병행한다.
Check 4
생리통 완화하는 생활습관
매달 약을 먹어야 할 정도로 생리통이 심하면 병원을 방문해 초음파검사와 혈액검사를 받자.
생리통은 평소 관리로 많이 완화할 수 있다. 생리통을 완화하는 생활수칙은 다음과 같다.
1 핫팩을 아랫배에 대고 찜질하자
따뜻한 팩을 아랫배에 대거나 따뜻한 물로 샤워해 자궁과 골반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레깅스처럼 몸에 꼭 끼고 짧은 하의는 복부와 하체의 혈액순환을 방해해 생리통을 더 심하게 유발하므로 아랫배와 골반부위를 압박하지 않으며 무릎 위까지 덮는 옷을 입자.
2 초콜릿이나 설탕, 인스턴트식품을 피하자
초콜릿이나 설탕, 술, 카페인 함유 식품, 밀가루는 생리통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밥은 백미가 아닌 현미로 먹고 빵을 꼭 먹어야 한다면 호밀빵을 먹자. 라면, 햄버거 등의 인스턴트식품은 생리통과 자궁 질환을 증가시킬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다.
3 다이어트하자
체중을 감량하면 생리통이 줄어든다. 복부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며 체내 호르몬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쳐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내막폴립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4 생리 전에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자
과일, 채소, 미역 등 해조류, 생선, 식물성 기름, 콩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E 등은 생리통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생리 전에 미리 챙겨 먹자.
5 요가나 스트레칭을 하자
생리통이 있는 시기에는 과격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요가나 스트레칭처럼 정적인 운동은 생리통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운동을 전혀 하지 않으면 자궁에서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이나 근육의 피로물질이 몸속에 쌓이고 몸 밖으로 배설되는 속도가 느려진다. 요가는 평소
잘 쓰지 않는 근육을 자극해 몸 구석구석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생리통을 완화한다. 특히 골반으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6 1년에 한 번 정기검진을 받자
매달 생리 변화를 잘 관찰하고, 6개월~1년마다 정기적으로 자궁검진을 받아 자궁 질환을 조기에 발견한다. 가임기 여성은 6개월에 1회 이상으로 검진 횟수를 늘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