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과

약 안 듣는 만성 전립선염… 근육 주사 한 방으로 효과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1년간 약 먹어도 치료율 17%… 주사 찔러 뭉친 근육 풀어주고 스트레칭 같이 하면 효과 지속

이미지

만성 전립선염 치료에 약보다 '주삿바늘'이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만성 전립선염은 세균 감염 등 뚜렷한 원인은 없는데 사타구니 주변에 통증이 3개월 넘게 지속되는 질환이다. 소변 검사 등에서 세균이 검출되는 급성전립선염 혹은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과 다르다. 만성 전립선염은 남성의 2~14%가 앓고 있으며,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어 병원에서는 주로 진통제나 항생제를 처방한다.

주삿바늘로 근육 끊어 재생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은 만성 전립선염 환자 21명의 골반 주변 근육에 '근막 유발점 주사(통증을 느끼는 부위에 주삿바늘을 찔러 넣어 딱딱하게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치료)'를 놓았다. 주사 한 번만 놓았는데도 만성 전립선염 증상 점수(NIH-CPIS)가 20.2점에서 12.5점으로 감소했고, 통증 점수(VAS)도 6.3점에서 2.9점으로 내려갔다.

주사 한 대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심한 상태에서 가벼운 상태로 호전된 것이다. 또 21명의 환자 중 19명은 더 이상의 주사 치료가 필요 없다고 느꼈다.

근막 유발점 주사는 실타래처럼 꼬여 있는 근육을 주삿바늘을 통해 일시적으로 끊는 것인데, 근육이 잠시 끊겼다가 곧바로 재생되면서 통증이 사라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상철 교수는 "주사 후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를 꾸준히 하면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토록 했더니 효과가 3개월 이상 지속됐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만성 전립선염 환자 88%가 골반 주변의 근육을 눌렀을 때 통증을 심하게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며 "그 조사와 이번 임상 결과를 종합하면 만성 전립선염의 상당수는 근육의 과도한 긴장으로 생기는 근막통증증후군의 일종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교수의 연구 결과는 최근 미국재활의학회지에 발표됐다.

약 효과 없고 사타구니 압통 심하면 시도

만성 전립선염은 치료를 위해 불필요하게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비뇨기학저널에 발표된 조사에 따르면, 만성 전립선염 환자 488명이 1년간 약(항생제, 진통제 등)을 복용했는데 치료율은 17%에 불과했다. 이 교수의 조사 대상 중 20년 동안 만성 전립선염을 앓고 3년동안 동네 비뇨기과에 다니며 진통소염제와 항생제를 복용한 54세 직장인도 있었다.

이 교수는 "상당수의 환자가 근육이 뭉쳐 만성 전립선염으로 진단받는 것이므로, 약 복용으로 효과를 못 본 환자들은 근막 유발점 주사와 스트레칭을 통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옙醫롫윥占쎈벨�숋옙占쎌굲壤깍옙占쎈뜄�됧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띶뜝�덇턂占쎈틶�앾옙�덉굲�좎럩�쒙옙�쇱삕�ル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