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100세까지 밝은 세상 ①] 황반변성

박영순 아이러브안과 대표원장

바둑판 휘어 보이면 의심… 선글라스로 예방을

이미지

박영순 아이러브안과 대표원장.
우리나라도 초고령 사회에 가까이 가면서 노인성 실명 질환인 황반변성이 계속 늘고 있다. 이 병은 사물을 보는 기능의 90%를 담당하는 망막의 중심부가 노화와 함께 손상돼서 발생한다. 황반변성이 무서운 이유는 실명으로 이어지기 쉬운데도 환자는 자신에게 황반변성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상당 기간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망막학회 조사 결과, 치료를 위해 안과를 찾아온 습성 황반변성 환자 6명 중 1명은 결국 실명 판정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각 발견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준다. 이렇게 황반변성 발견이 늦는 것은 환자 대다수가 발병 초기에 노안 증상과 혼동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황반변성을 초기에 쉽게 인지하는 방법이 있다.

필자는 지인이나 병원을 방문한 일반 환자에게 "욕실 타일이나 바둑판을 주기적으로 보라"고 권한다. 황반변성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네모 반듯한 모양의 욕실 타일이나 바둑판, 건물 모양이 휘어지거나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한 쪽씩 눈을 가리고 시야의 일부분이 사라져 안 보이는지, 뒤틀리거나 희미한 부분은 없는지, 직선이 물결 모양으로 굽이쳐 보이지는 않는지 등을 테스트해 보면 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없이 안과를 찾아가 망막단층촬영(OCT) 등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증상이 확인되면 망막 손상 정도에 따라 주사 치료, 레이저 치료, 광역학 치료, 항산화비타민 요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한다.

황반변성은 발병하기 전에 예방하는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 당장 담배를 끊고 선글라스와 친구가 돼야 한다. 흡연은 황반변성의 유력한 유발 요인이자 증상 악화의 주범이다. 따라서 눈 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40세 이후 금연은 필수다.

선글라스는 황반변성의 훌륭한 예방 도구다. 필자는 1년 내내 바깥에 나갈 때는 언제나 선글라스를 쓴다. 병원에서 나와 가까운 식당에 가는 잠깐 사이에도 예외는 없다. 선글라스는 녹색이 좋다. 자외선 차단효과가 크고 눈의 피로를 덜어주기 때문이다. 너무 짙은 색은 동공이 커져 오히려 더 많은 자외선을 받아들이므로 피해야 한다. 아주 진한 렌즈보다 70~80% 정도의 농도가 적당하다. 아직 한국에서는 일상에서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낯설지만, 이런 사회 분위기는 꼭 개선돼야 한다. 황반변성 같은 치명적인 눈 질환을 예방하는 일 앞에서 체면이나 멋쩍은 생각을 할 이유가 없다. 마지막으로, 녹황색 채소와 항산화 영양제를 섭취하는 것도 황반변성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