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질환

고통스런 역류성 식도염, 수술로 완치된다

최형창 헬스조선 인턴기자 | 사진=중앙대병원 제공

직장인 김모씨(36)는 15년간 가슴 통증과 역류성 식도염을 앓았다. 연말연시 잦은 술자리로 증상이 평소보다 더 악화되자, 김씨는 고민 끝에 외과수술을 받았다. 지금은 가슴 통증과 역류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다.




이미지

김씨는 그동안 역류성 식도염이 완치가 안 된다고 생각하고 위산분비 억제제를 먹으며 지냈다. 김씨처럼 역류성 식도염은 치료가 안 되는 병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하지만, 역류성 식도염도 외과 수술을 통해 충분히 치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와 위 사이에 있는 하부 식도 괄약근이 자주 열려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올라가기 때문에 생긴다. 하부 식도 괄약근은 식도의 ‘문’ 역할을 한다. 원래 이 괄약근은 밥을 먹거나 트림을 할 때만 열려야 하는데, 식도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는 등 문제 때문에 자주 열려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하는 것이다.

중앙대병원 외과 박중민교수는 복강경 위저추벽성형술을 통해 역류성 식도염을 치료했다. 복강경 위저추벽성형술이란 느슨해진 식도 하부를 위 밑 부분으로 감싸주는 수술법이다.(그림) 이는 느슨해진 밸브를 조이는 효과가 있어 재발하는 만성질환으로 여겨진 위식도 역류질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 배 쪽에 5개의 침을 설치해 절개를 최소화해 흉터와 후유증도 줄일 수 있다.

박중민 교수는 “자칫 방치될 경우 식도암 등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역류성 식도염은 장기적 약물치료로는 한계가 있고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며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를 할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환자들은 평생 약을 복용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