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젓가락질 힘들만큼 손에 힘이 안들어가면…'이 병'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 황유진 헬스조선 인턴기자

주부 오모씨(여·42)는 요즘 들어 부쩍 발음이 어눌해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어떤 날에는 젓가락질 하는 것이 힘들 만큼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았다. 한 번은 다리가 풀려 길을 가다 넘어지기까지 했다. 그녀는 이러한 사실을 가족에게 알렸고 그녀의 가족은 뇌졸중이 아니냐며 그녀에게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보라고 했다.두려운 마음으로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은 신씨는 의사로부터 ‘경추증성 척수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이미지

사진출처=조선일보 DB

평소와는 다르게 발음이 새고 입이 돌아간 것 같으며 젓가락질이나 단추 채우기 등의 동작이 힘든 사람들은 신씨처럼 뇌졸중은 아닌지 겁부터 먹게 된다. 그러나 목 부위의 척수 신경이 눌리는 경우에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경추증성 척수증이란 목 부위의 중추 신경인 척수의 주변 구조물이 척수를 압박하고 이로 인해 척수가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는 것을 말한다.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 두께의 감소, 황색인대 비후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경추증성 척수증을 앓게 되면 다리의 힘이 빠져 걷기가 힘들고 계단을 오르는 것이 어렵다. 또한 대소변 및 부부생활에도 지장을 초래하며 젓가락질을 하거나 손으로 물건을 잡는 일, 단추를 채우는 것조차 힘에 벅차게 된다.

척수가 반 이상 눌린 경우에는 다리의 감각이 이상하고 저리며 힘도 없어진다. 더불어 지압을 하거나 넘어지는 등의 경미한 충격에도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태가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MRI 등 정밀검사를 해 병의 여부를 확인한다. 현재까지 경추증성 척수증 환자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이 유일하다.

외과적 수술은 유합술과 운동보존 수술 등 방법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환자의 상태와 적응증에 따라 달리 선택 적용된다. 기존에 흔히 사용되던 유합술은 병변을 제거한 부위에 쇠나사 등을 이용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운동 기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압박된 신경 주변의 뼈를 갈라서 신경 주변의 길목을 넓히고, 그 부위를 인공뼈로 고정해 기능 손실을 최소화하는 운동보존 수술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이 늦어져 치료시기를 놓치면 사지의 불완전 마비가 오고 치료 후에도 삶의 질은 떨어질 수 있다.

경추증성 척수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이나 직장에서의 스트레스가 목 주위의 근육들을 긴장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대해 슬기롭게 대처하고 목 주위 근육을 강화시키는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예방하는 것이 좋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